학술논문
『廣藝舟雙楫』「綴法」에서 論한 行筆의 審美 形式 考察
이용수 40
- 영문명
- A Study on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行筆: a Type of Brush Work) Argued in the Chapter of 「CheolBeop (綴法)」, 『GwangYeJuSsangJip (廣藝舟雙楫)』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 저자명
- 김동협(Dong-Hyeop Kim)
- 간행물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第67輯, 5~3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淸代의 康有爲(1858∼1927)가 書法에 관해 체계적으로 기술한 『廣藝舟雙楫』 제21 「綴法」에서 論한 行筆의 審美 形式을 考察한 것이다.
서예는 필법의 토대 위에서 작가의 역량을 발휘하여 문자에 생명을 불어넣는 예술이다. 필법은 필획을 구성하는 기본 법칙으로, 대체로 유연하고 탄력성이 풍부한 毛筆로 구현한다. 모필은 점과 획에서 생기발랄한 미감을 불러일으키는 도구이므로 行筆의 審美 形式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 행필은 서예의 용필 방법의 하나로 종이 위에서 筆鋒을 운행하는 방법이다. 행필이 바르지 않으면 글씨에 生氣를 잃게 되어 역대 서예가들은 서예 연마 과정에서 행필의 숙련을 가장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에 康有爲는 행필 용법에 있어서 王羲之가 『書論』에서 “十遲五急, 十曲五直, 十藏五出, 十起五伏의 변화가 있게 하여야 한다.”라고 말한 것을 인용하여 대대적 요소가 결구의 다양한 구조를 조화시키는 속성이자, 중요한 기본요소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行筆에서 筆勢의 審美 形式에 있어서 藏頭護尾·錐劃沙·印印泥·屋漏痕을 그 예로 들었다. 藏頭護尾는 圓渾有力한 筆勢를 드러내는 심미요소이고, ‘錐劃沙’는 遒勁險絶한 필세를 드러내는 심미요소로서 용필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印印泥’는 圓熟重厚한 심미요소로서 中鋒과 藏鋒의 예술적 효과를 내함하고 있으며, ‘屋漏痕’은 圓滑生動한 심미요소로서 竪劃의 용필 및 그 예술 효과를 표현하였다.
서예 연마 과정에서 행필의 숙련은 筆勢의 다양한 風格을 구현한다. 이는 주관이 객관으로 나아가 전체의 공감을 형성하는 審美 풍모를 낳는다. 따라서 개별성을 강조하는 필세의 풍격과 전체성을 강조하는 심미 풍모가 작가의 역량과 정신을 융합하여 행필의 심미 형식을 갖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행필의 심미 형식은 작가와 감상자가 교감하는 형식으로서 서예 창작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을 수 없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bout the study on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argued in the chapter of 「CheolBeop」, the chapter 21 of 『GwangYeJuSsangJip』 systematically written about calligraphy rules by Kāng Yǒuwéi (1858~1927) of Qing dynasty.
Calligraphy is an art that vitalizes characters through artists’ power based on the foundation of calligraphy rules, which are basic rules for composition of calligraphy strokes. Such calligraphy rules are realized through brush work that is generally flexible and elastic. Brush is a tool to draw up the vitalized aesthetic sense on the dots and lines, so that it is forced to follow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which is a type of brush work used to run the tip of the brush on the paper. With a wrong HaengPil, the character loses its vitality. Calligraphers have, therefore, considered skillful HaengPil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alligraphy training process.
Regarding the usages of HaengPil, thus, Kāng Yǒuwéi referred to what Wáng Xīzhī said, “There must be such changes as ‘being slow 10 times while fast 5 times’, ‘curvy 10 times while straight 5 times’, ‘hiding 10 times while exposing 5 times’ and ‘standing 10 times while lying with face down 5 times’” in order to emphasize that counterpart formation is the attribute and an important basic element to harmonize a variety of calligraphy structures. He made such examples as ‘tail helping head’, ‘picking on sand’, ‘stamping on mud’ and ‘house building-up trace’ for the aesthetics form of brush work power in HaengPil. The usage of ‘tail helping head’ is an aesthetic element to disclose the brush work power for powerful round fusion while the usage of ‘picking on sand’ is an aesthetic element to express the firm mood. Such usages help being enlightened of brush work. The usage of ‘stamping on mud’ is the aesthetic element of being matured and dignified containing such art effect as showing and hiding sharpness while the usage of ‘house building-up trace’ is the aesthetic element of being vivid in round form to express the up-straight type of brush work and its related art effect.
In the process of getting trained of calligraphy, the training of HaengPil realizes a variety of classical moods of brush work power, making subjectivity go forward to objectivity and further making a birth to a dignified aesthetics to form the sympathy of the whole. It can be, therefore, said that the mood of brush work power emphasizing individuality and the aesthetic mood emphasizing the whole fuse the artist’s performance and spirit to get the calligraphy work piece filled up with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Thus, the aesthetics form of HaengPil cannot help playing a key element in calligraphy creation as a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viewer.
목차
1. 머리말
2. 『廣藝舟雙楫』 「綴法」에서 論한 行筆의 審美 形式
3. 맺음말
키워드
行筆
筆心
遲急
曲直
藏出
起伏
隱鋒
藏頭護尾
錐劃沙
印印泥
屋漏痕
HaengPil
Mind of Brush Work (筆心)
Being Slow while Fast (遲急)
Being Curvy while Straight (曲直)
Hiding while Exposing (藏出)
Being Tall while Short (起伏)
Getting Peak Hidden (隱鋒)
Tail Helping Head (藏頭護尾)
Picking on Sand (錐劃沙)
Stamping on Mud (印印泥)
House Building-up Trace (屋漏痕)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대동한문학 제81집 목차
- 병자호란을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식 - 이긍익의 『연려실기술』과 박종화의 『대춘부』(1937)를 중심으로
- 19세기 조·청 문인교류 연구의 검토 - 문인교류의 흐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