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민국 의료이용 형평성에 관한 고찰
이용수 145
- 영문명
- The Equity in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부패학회
- 저자명
- 우정희(Chung Hee Woo) 김명자(Myung Ja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부패학회보』제28권 제4호, 141~1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체적 정신적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의미하는 의료이용 형평성을 토대로 국민의 건강권 확보가 이루어지는 실태를 살펴보고 건강권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의료이용에 대한 형평인 소비자 관점을 중심으로 고려하여 의료이용을 분석하였다. 보건의료가 집단의 건강수준 향상에 기여한다는 관계가 명확하지 못하기 때문에 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수준의 의료기관 이용을 중심으로 살피는 것이 의미있다.
대한민국 의료이용에서는 의료자원의 지역 불균등, 소득에 의한 의료이용 불균등, 정부 정책의 변동으로 인한 불균등이 존재하였다. 의료이용 형평성 확보는 건강권의 일환으로 국가에서 제공해야하는 서비스이다. 의료이용 혜택이 국민 모두에게 골고루 배분될 수 있도록 소외계층을 고려한 구조적 요인 개선이 필요하다.
민간병원이 주를 이루는 의료시장에서 정부의 자원을 활용한 의료이용 형평성 향상 방안이 필요하다. 보건소와 의원을 시작으로 하는 포괄적 의료전달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코로나19 펜데믹 상황에 유용했던 대응을 장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야 한다. 기술발전을 활용하여 전 국민이 필수 의료는 받을 수 있도록 대비하고 일반인의 헬스 리터러시를 강화하여 불평등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people's right to health is secured based on equity in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Korea. Health service utilization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consumer perspective, which is equity in medical use.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and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health level of the population is not clear, it is meaningful to focus on the use of medical institutions at the individual level to improve health.
In the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Korea, there were regional inequalities in medical resources, inequalities in medical use by income, and inequalities due to changes in government policy. Securing health service utilization is a service that must be provided by the government as part of the right to health. There is a need to improve structural factors that take underprivileged groups into consideration so that medical benefits can be distributed evenly to all citizens.
In a medical area dominated by private hospitals, there is a need for the plan to improve equity in health service utilization by government resources. A comprehensive medical delivery system must be established. We must lay the foundation for long-term use of the responses that were useful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We must utilize technological advancements to prepare all to receive essential medical care and seek ways to minimize inequality by strengthening the health literacy of the popu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의료이용 형평성의 개념
Ⅲ. 대한민국 의료이용에서의 불공정 사례
Ⅳ. 결론: 대한민국 의료이용 형평성 향상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우리나라 부패방지정책의 최근 동향과 주요 이슈에 관한 제언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청소년의 차별 경험 예측요인 탐색
- 공직선거법 체계정비를 위한 법제 개선 검토
- 국민권익위원회 조직개편과 기능강화 방안 연구
- 행동경제학의 반부패정책 활용을 위한 연구
- 대한민국 의료이용 형평성에 관한 고찰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후 러시아 부패 동향 분석
- 감사공정성 개념 및 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대학 내 괴롭힘 사건 대응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 과제
- 사회적 포용 관점에서 고등평생교육 규범 고찰
- 개인정보 분쟁의 특수성과 분쟁해결제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