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권력으로서의 독도

이용수 18

영문명
Dokdo as Cultural Power-Focusing on trends and the field in academia, media, and educatio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조수일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5호, 143~17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2000년 이후로 시기를 한정하여 독도연구의 동향을 통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와 동북아역사재단이 양대 축을 형성하여 한국 학계의 독도연구를 선도해왔음을 분명히 했다. 이어서 신문 사설을 독해함으로써 언론계는 독도문제를 통해 우경화하는 일본을 표상하고 동시에 이를 다양한 한일 과거사와 연동시키고 있음을 드러냈으며, 또한 언론계가 독도문제를 다루는 기본적인 인식 틀은 독도는 협상의 대상도 아닐뿐더러 분쟁의 지역도 될 수 없다는 것임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초·중등학교의 독도교육을 둘러싼 교육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교육현장에는 강력한 정치적 자장이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했고, 독도교육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통해 점차 세분화·체계화·디지털화·문화콘텐츠 산업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움직임에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와 동북아역사재단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본고는 이 같은 고찰을 통해 독도라는 기표는 대한민국 사회의 앎·지식, 매체·문화, 일상·생활 등 구석구석의 영역에서 의미작용을 일으키며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우리 영토’라는 담론과 인식을 신체화·구조화하는 문화권력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Since 2000, this paper has statistically examined the trend of Dokdo research with a limited period of time, and it has been made clear that Dokdo Research Institute of Yeoungnam University and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have formed two pillars to lead the Korean academic research on Dokdo. Next, by reading newspaper editorials, this paper cleared that the media have represented Japan leaning to the right through the Dokdo issue and at the same time linked it to various Korean and Japanese past history. It also confirmed that the basic perception framework for the media to deal with the Dokdo issue is that Dokdo is neither subject to negotiation nor a disputed area. Finally, by reviewing the educational policies surrounding Dokdo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t was pointed out that a strong political magnetic field was work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Dokdo education is gradually becoming more industrialized, systematized, digitized,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budgets, and Dokdo Research Institute of Yeoungnam University and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re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the move.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signifier of “Dokdo” acts meaningfully in every corner of Korean society, including knowing, knowledge, media, culture, daily Life, and acts as Cultural Power that embodies and structures the discourse and perception that “Dokdo is our territory historically, geographically, and internationally.”

목차

1. 머리말
2. 독도연구의 동향과 축
3. 신문 사설의 독도담론
4. 초·중등학교 독도교육의 자장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수일. (2023).문화권력으로서의 독도. 독도연구, (), 143-173

MLA

조수일. "문화권력으로서의 독도." 독도연구, (2023): 143-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