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덕궁 낙선재 후원 소영주小瀛州 괴석怪石과 심상규沈象奎의 소안원蕭雁園

이용수 34

영문명
Oddly-shaped Ornamental Rock with the Inscription of SoYeŏngJu in the Rear Garden of Nakseŏnjae Hall at Changdeŏkgung Palace and Sim Sang-kyu, an Owner of Soanwŏn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저자명
진민희(Min Hui Jin)
간행물 정보
『고궁문화』제16호, 235~26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14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덕궁 낙선재 본채 후원에는 ‘소영주小瀛州’라는 글씨가 새겨진 괴석대怪石臺 위로 수석이 놓여있다. ‘소영주’는 ‘작은 신선계’를 뜻한다. 본고는 창덕궁 낙선재 후원의 소영주 괴석 전면부 ‘운비옥립’ 하단에 새겨진 낙관자와 후면부의 각자를 해독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한다. ‘운비옥립’의 서체는 행초서行草書로, 글씨 끝에 낙관이 새겨져 있으나 일부가 깨어져 나가 정확한 판독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후면부의 각자 역시 마모가 심해 지금까지 그 존재가 드러나지 못했다. 이에 괴석에 대한 정보가 오랫동안 미상으로 남아있었다. 본고는 괴석 전면부의 낙관자를 ‘두실거사斗室居士’로, 후면부의 각자는 ‘소안원蕭雁園’으로 해독하였다. 이로써 ‘두실’을 호로 삼고 ‘소안원’의 주인이었던 심상규沈象奎, 1766~1838가 소영주 괴석의 소유주였으며, 소영주 괴석은 소안원의 정원석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는 심상규 집터를 소개하고 소안원 시회蕭雁園詩會에서 창작된 작품들을 분석하여, 소영주 괴석이 정원석으로 있던 소안원의 실존 사실을 확인하였다. 심상규는 19세기 경화세족을 대 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경복궁 동쪽 근지의 송현동松峴洞에 거주하며 4만 권의 책을 소장한 서재 가성각嘉聲閣의 주인으로 유명했다. 또한 심상규는 송현동 저택에서 당대 최고의 명문 벌열가 문인들을 초대해, 자신이 소장한 최고급 서화골동품을 완상하는 소안원 시회를 열었다. 소안원은 19세기 경화세족의 고급 소비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문화공간이었다. 소영주 괴석은 바로 소안원의 정원석이었던 것이다. 또한 소안원 괴석이 낙선재로 이설한 시점과 방식에 대해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 자료를 통해 다양한 가능성을 추정해 보았다. 명확한 사실은 괴석이 1901년 이전부터 낙선재 후원에 자리 잡았다는 점이다. 심상규 집터는 현재까지 서울 내에서 다층적인 역사성으로 의미가 깊은 장소이다. 해방 후에는 구 미대사관직원숙소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서울시에서 ‘송현 문화공원’과 ‘이건희 기증관’으로 활용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창덕궁 낙선재 소영주 괴석의 원 소재지가 소안원이었다는 사실은 심상규 집터의 역사적 의미를 한층 더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의의는 무엇보다도 소영주 괴석의 원 소유주와 소재지를 밝힌 첫 번째 연구라는 지점에 있다. 본고의 연구가 19세기 문화사·문학사·서울사에 대한 이해에 일면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e rear garden of Nakseonjae Hall within Changdeokgung Palace, on top of the oddly-shaped rock pedestal with the inscription of SoYeŏngJu(小瀛州), there is a stunning rock. SoYeŏngJu means a small world of Taoist hermits. e decorative rock resembles a retreat for Taoist hermits,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stratied creases, and an inherently arid texture. Remarkably, upon exposure to moisture, it promptly manifests a luminous quality, revealing its aesthetically pleasing features. 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cipher the carved seal letters at the bottom right of the inscribed characters unbioklip(雲飛玉立, clouds soaring, jade upright) engraved on the front of the ornamental rock pedestal and the carved characters on its back. Unbioklip characters are engraved in the running script. At the bottom right of the four engraved characters is another carving, however precise readings are difficult due to some parts being broken. e characters on the back of the rock have also been indescipherable until now due to severe wear and tear. As a result, information about this rock has remained unknown for a long time. This study asserts that the carved seal letters on the bottom right of the front side of the rock reads dusilgeosa(斗室居士, the Hermit of the Dipper Chamber) and the other on its back Soanwon(蕭雁園). Consequently, it is discerned that Sim Sang-gyu (1766-1838), who used ‘dusil’ as his courtesy name and was the owner of the Soanwon Garden, possessed the ornamental rock. This revelation indicates that the rock was a part of the garden stones in the Soanwon Garden. Hence, this paper introduces the residence site of Sim and analyzes works created during the literary gatherings at the Soanwon Garden, conrming the factual existence of the Soanwon Garden whose garden stone was the ornamental rock of Nakseonjae Hall. Sim Sang-gyu was a prominent gure representing the nobility of Hanyang (present-day Seoul) in the 19th century. Residing in Songhyeon-dong, situated east of Gyeongbokgung Palace, he was renowned as the owner of the private library Gaseonggak(嘉聲閣), housing over 40,000 volumes. Furthermore, he hosted literary gatherings at Soanwon, inviting the most distinguished literati and connoisseurs of his time to appreciate his exquisite collection of high-quality calligraphy, paintings and antiques. The Soanwon Garden served as a cultural space embodying the sophisticated consumption culture of the elite in Hanyang in the 19th century. Furthermore, this study has explored various possibilities regarding the timing and method of the relocation of the Soanwon Garden stone to Nakseonjae Hall, drawing insights from historical source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 incontrovertible conclusion drawn is that the rock had already found its place in the rear garden of Nakseonjae Hall before 1901. The residence site of Sim holds profound historical signicance within the layered historical context of Seoul up to the present. After Korean Independence in 1945, the site was once occupied with the accommodation buildings for U.S. Embassy staff and is currently being planned for repurposing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the “Songhyeon Cultural Park” and the “Lee Kun-hee Bequest Hall”. Moreover, the revelation that the original location of the ornamental rock was Soanwon adds an additional layer of historical signicance to the legacy of Sim’s residence site. The primary signicance of this paper lies, above all, in being the rst study to elucidate the original owner and location of the Nakseonhae rock. It is hoped that the ndings of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enhancing understanding of aspects of 19th-century cultural, literary, and historical dimensions,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Seoul’s history.

목차

Ⅰ. 머리말
Ⅱ. 창덕궁 낙선재 후원 소영주 괴석의 각자
Ⅲ. 심상규의 소안원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민희(Min Hui Jin). (2023).창덕궁 낙선재 후원 소영주小瀛州 괴석怪石과 심상규沈象奎의 소안원蕭雁園. 고궁문화, (), 235-263

MLA

진민희(Min Hui Jin). "창덕궁 낙선재 후원 소영주小瀛州 괴석怪石과 심상규沈象奎의 소안원蕭雁園." 고궁문화, (2023): 235-2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