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약성서의 ‘땅의 문제’

이용수 25

영문명
‘The Problem of Land’ in the Old Testament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김영호(Young-Ho Kim)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203집(2023년 겨울호), 9~3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구약성서에서 팔레스타인과의 분쟁을 암시하는 성서의 서술에 대해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당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한다. 본 논문은 성서 가운데 실재하는 이데올로기를 파악하고 연구하는 ‘이데올로기 해체 비평’를 통하여 구약성서의 땅에 관련한 본문들을 분석한다. 이데올로기 해체 비평은 성서의 글쓰기 작업에는 역사적 환경과 시대 상황이 있음을 전제하는 방법으로서 논리를 표출할 수 있는 글에는 반드시 이데올로기가 선행하며, 이데올로기의 형성은 당시의 시대적 정황(history context)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성서에 기록된 역사를 ‘해체’(deconstruction)하는 것은 성서의 기록(본문)을 단순하게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본문의 서술 시기를 추정하여 “왜 그 당시에 이런 기록을 하였는지”에 대해 더 관심을 두는 것이다. 본 논문은 땅과 관련된 성서의 본문 가운데,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에스라-느헤미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이 글들이 가리키는 의미만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성서의 글쓰기(최종 편집)가 이루어진 시대와 그 직전의 현실, 곧 기원전 5세기 이후, 즉 포로지에서 귀환한 사제 집단의 현실을 함께 살펴봄을 통하여 그들의 이데올로기가 왜 담지(擔持)되었는지 논한다. 이를 통하여 본 논문은 구약성서의 땅에 관련한 진술의 기저에 이데올로기가 있으며, 그 본문들은 글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포로기 이후 저자의 현실 속에서 서술되었음을 밝힌다. 땅에 대한 성서 본문의 이데올로기를 해체하여 분석하면 유대 땅에 대한 문제는 바빌론 포로지 귀환 이후 사제 집단의 의도와 관련이 있으며, 성서의 땅과 관련한 진술에 포로 귀환 당시 사제 집단의 입장과 유대 땅 토착민에 대한 목적이 있음을 찾아낼 수 있다. 무엇보다 구약성서에 나타난 ‘땅의 문제’ 글쓰기의 주체는 두 가지 상이한 사제 집단이 있다. 먼저 바빌론 포로기 귀환 초기의 사제 집단(사독계 제사장)은 귀환 당시 유대 땅에 대한 통제의 목적으로 성전 건설을 강조하면서 자신들의 정통성(원소유권)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자신들이 돌아와 원소유권을 가지고 있다고 편집을 한다. 반면, 제2성전 건축 이후의 후기 사제 집단(레위계 제사장)은 성전 완공 이후 페르시아 제국의 속주 위임 통치 아래 성전세 확대 징수를 위한 이데올로기적 편집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사제 집단들의 이데올로기적 땅에 관한 서술은 오늘날의 국가적 영토 개념의 땅과 성격이 다른 것이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narrative of the Bible that implies conflicts with Palestine in the Old Testament to determine whether it has specific and realistic justifications. This study analyzes texts related to the land in the Old Testament through ‘ideology deconstruction criticism,’ which identifies and studies ideologies in the Hebrew Bible. Ideology deconstruction criticism is a method that presupposes that there are historical and temporal contexts in the writing of the Bible. It establishes that ideology precedes any writing that expresses logic, and that the formation of ideology is based o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at time. Additionally, ‘deconstructing’ the history recorded in the Bible is not a mere interpretation of the records (text) of the Bible, but takes into account an estimate of the time the text was written and seeks to understanding “why such records were made at that time.” This thesis analyzes texts related to the land in the Bibl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book of Ezra-Nehemiah, wher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are distinctly evident. Instead of merely understanding the meanings indicated in these texts, the study delves into the era in which the writing (final editing) of the Bible took place, examining the reality of the era and just before that time—specifically, the reality of the priestly group that returned from the Babylonian exile after the 5th century BCE. With this approach, this thesis reveals that ideology is embedded in the biblical statements regarding the land of the Old Testament, and that the texts were written by the author during the post-exilic period. Deconstructing the ideology of the land in the Bible and analyzing it reveals that the issue of the land of Judah is related to the intentions of the priestly group after the Babylonian exile. The thesis also finds that the purpose of the narratives about the land in the Bible is associated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priestly group at the time of the return from exile and their intentions concerning the indigenous people of Judah. Above all, those writing about the ‘problem of the land’ in the Old Testament can be identified as two different groups of priests. Firstly, the early priestly group (the Zadok priests) during the Babylonian exile emphasized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as a means of controlling Judah at the time of the return, asserting their legitimacy (original ownership) in the editing of the Bible. On the other hand, the later priestly group (Levite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temple engaged in ideological editing work under the delegated rule of the Persian Empire for the expansion of the temple and collection of temple taxes. The ideological descriptions of the land by these priestly groups differ from the contemporary concept of national territor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사 ― ‘유대 땅’에 대하여
Ⅲ. 구약성서에 나타난 유대 땅의 소유 문제
Ⅳ. 결론 ― 구약성서의 ‘땅의 문제’는 ‘성전세’ 안정적 확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호(Young-Ho Kim). (2023).구약성서의 ‘땅의 문제’. 신학사상, (), 9-35

MLA

김영호(Young-Ho Kim). "구약성서의 ‘땅의 문제’." 신학사상, (2023): 9-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