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이용수 1

영문명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d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Online Learning due to COVID-19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대용 최진혁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5권 제2호, 85~10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특수교사 및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가 온라인 학습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향후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및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연구참여자는 특수교사 총 164명,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 127명이며,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자체 개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 조사 결과는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교차 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 및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는 모두 온라인 학습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학습의 효과성도 부정적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주로 활용하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은, 온라인 학습터와 같은 LMS, 밴드, 클래스팅, EBS 등을 활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자체 제작한 학습자료 및 학습지와 교과서 등의 자료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이 효과적이지 못한 이유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개인적인 어려움과 가정 학습의 어려움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의 어려움도 온라인 학습의 비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학습의 적용 대상은 두 집단 모두 완전통합 학생이 가장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서는 장애학생별 맞춤 학습 환경, 콘텐츠 제공 및 국가 차원의 학습 자료 개발이 필요함을 요구하였다. 온라인 학습에 대한 인식은 두 집단 모두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교육대상자의 보호자 집단이 특수교사 집단보다 더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e-learning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o examin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e-learning.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A total of 164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27 par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perform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ross-analysis, and an independent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we determined that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were dissatisfied with online learning—they responded negatively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learning. The platforms that are mainly used include LMS, band, classting, EBS, and other online learning centers. We also determined that participants mainly used self-made learning materials, study papers, and textbooks. The reason that e-learning was not effective was mostly due to special education students' personal difficulties and home e-learning difficulties. The target of online learning was that the most integrated students were the most suitable. For effective e-learning to take place, there must be customized learning environments and cont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is developed at the national level. The comfort level with e-learning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average, and the parent group was less comfortable tha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improve onlin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용,최진혁. (2020).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특수교육학연구, 55 (2), 85-108

MLA

김대용,최진혁. "코로나-19로 인한 특수교육 온라인 학습 실태 및 온라인 학습 인식 조사." 특수교육학연구, 55.2(2020): 85-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