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계천에서 난지도로

이용수 2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information production and the displacement of the urban underclass in 1970s' Seoul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소준철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84집, 495~545쪽, 전체 5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8,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70년대 서울지역 도시하층민은 도시 간 이동만큼이나 도시 내 이동이 활발했다. 이들의 이동은 자발적인 이동이 아니라 무허가주택 철거와 도심재개발에 의한 반강제적인 이동으로 알려졌다. 무허가주택 철거와 도심재개발은저항에 대한 강제적인 철거와 정부와 건설자본의 결탁에 의한 하향식 개발로만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철거와 개발의 강제성과 하향성을 가능하게 한 제도적이며 기술적인 변화가 존재했고, 이는 ‘항공사진’을 통해 공간정보와 소유정보를 제도에 결합하는 것이었다. 여기에 철거 후 제공된 임대아파트는 도시하층민이 감당하기 어려웠으며, 서울 곳곳의 도시하층민 밀집지역에 대항 동시다발적인 철거는 도시하층민들의 이동을 강화했다. 게다가 도시하층민들은1971년 이후 합법화되었으나 주거비가 더 드는 주택밀집지역에 거주했고, 이곳에 거주하기 힘든 이들은 난지도와 같은 유일한 무허가 거주가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했음에 주목한다. 요컨대 도시하층민의 이동은 철거와 개발의 강력한 흐름에 의해 이행됐으며, 이는 항공사진으로 인해 생산된 무허가주택의 단속을 위한 공간정보를 제도에 결합하며 가능했다. 어쩔 수 없는 도시하층민들의 마지막 선택은 공간정보가 만들어지지 않는 지역으로 대피하는 것이었다. 이는 권위주의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간적 배제와 도시하층민들의 소극적인 저항이기도 했다.

영문 초록

During the 1970s, the urban underclass of Seoul underwent significant displacement. This displacement took place within the city and was mainly due to semi-forced evictions from unauthorized dwellings and large-scale urban redevelopment initiatives. The government policies and construction capital interests created a perception of the redevelopment primarily as forced demolitions and top-down development. However, these transformations were underpinned by significant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changes. Aerial photography, for example, facilitated the institutionalisation of spatial and ownership information. Through this transformation driven by technology, demolishing unauthorized housing became a systematic and feasible enforcement measure. The urban poor were unable to afford the newly constructed rental apartments after the demolitions. The simultaneous demolition of deprived areas across Seoul worsened their displacement. Individuals searched for shelter in inadequate housing clusters which became legalised after 1971. For those who were unable to afford these dwellings, unauthorised areas like Nanjido presented themselves as the only option. The displacement of the urban underclass was essentially due to a significant wave of demolitions and development. The institutionalisation of spatial data through aerial photography played a crucial role in implementing the clearance of unauthorised housing. The urban poor had no other choice but to move to areas where spatial information is not available. This highlights how socially vulnerable people are excluded from certain areas based on their location. Moreover, it underscores the passive resistance of the urban poor towards aggressive and authoritarian development.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이농민과 판자촌의 증가
Ⅲ. 항공사진 단속체계와 철거
Ⅳ. 묵인된 사람들
Ⅴ.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소준철. (2023).청계천에서 난지도로. 민족문화논총, (), 495-545

MLA

소준철. "청계천에서 난지도로." 민족문화논총, (2023): 495-5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