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형평운동의 지역성과 지역운동

이용수 53

영문명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Movement of Japanese colonial era Social Equality Movement for the People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일수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84집, 431~46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형평운동의 지역성과 지역운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남부지역과 북부지역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경상도, 충청도 등 남부지역이 백정 인구, 형평 조직, 반형평운동 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확인하였다. 그 차이는 성리학 전통의 강약, 서구사상의 전파와 근대화의 정도에서 찾을 수 있었다. 경상도와 충청도의 대표적 반형평운동운 성리학적 전통, 일제의 백정 정책변화에 따른 직업 갈등에 더해 8월의 백중(호미씻이) 기간에 발생하였다. 농민의 휴가 기간과 두레라는 농민 조직에 더해 군중 심리가 작용하였다. 이로써형평사에 대해 강경한 폭력을 수반한 공격이 가해졌다. 경상도의 대구와 부산은 반형평운동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두 도시는개항 이후 급속하게 성장한 근대 식민도시였다. 특히, 대구의 경우 서양종교가 백정들의 교육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백정들이 서양종교의 교인이 되어 신분차별에 대한 사회의식을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경북 김천의 경우 근대 식민도시로 성장하는 가운데 형평운동 진영은 김천 형평분사의 고문으로 지역 유지를 추대하였다. 이를 통해 형평운동에 대한 분위기를 반감시키면서 사회운동세력과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처럼도시와 농촌의 특성이 형평운동과 반형평운동의 역학 관계와 일정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영문 초록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Movement of Japanese colonial era Social Equality Movement for the People were examined. Through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could be fou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outhern regions such as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butcher, social equality organization, and anti-Social Equality Movement for the People. The difference could be found in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Neo-Confucian tradition, the spread of Western ideas, and the degree of modernization. As a result, a strong attack was imposed on the equity firm It occurred during the middle of August in addition to the representative anti-social equality movement for the people anti-social equality movement for the people tradition of G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and job conflicts caused by changes in the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Crowd sentiment worked in addition to the farmers' vacation period and the farmers' organization called Dure. In Daegu and Busan in Gyeongsang-do, there were few anti-social equality movement for the People. The two cities were modern colonial cities that grew rapidly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n particular, in the case of Daegu, Western religions helped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s of the butcher. In addition, white politicians were able to overcome social awareness of status discrimination by becoming members of Western religions. In the case of Gimcheon, Gyeongsangbuk-do, while growing into a modern colonial city, the equity movement camp encouraged the maintenance of the region as an adviser to the Gimcheon Equity Branch. Through this, the atmosphere of the equity movement was halved and a close bond with the social movement forces was maintained. As such,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rural areas are consistently related to the dynamics of the equity movement and the anti-equity movement,

목차

Ⅰ. 머리글
Ⅱ. 형평운동의 전개에서 남부 지역과 북부 지역의 차이
Ⅲ. 반형평운동 발생과 미발생 지역의 특성과 차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일수. (2023).일제강점기 형평운동의 지역성과 지역운동. 민족문화논총, (), 431-463

MLA

김일수. "일제강점기 형평운동의 지역성과 지역운동." 민족문화논총, (2023): 431-4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