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말하기 평가 리터러시 측정 연구

이용수 129

영문명
A Study on Korean Speaking Assessment Literacy Measurement: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s from Graduat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성준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36호, 477~50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 관한 리터러시와 관련하여 이를 구성하는 세부 영역 및 항목들을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측정 도구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언어 평가 리터러시에 관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대규모 언어 평가 리터러시 조사에 사용된 질문지를 말하기 평가를 중심으로 수정하여 말하기 평가 활동, 목적, 개념과 관련된 19개 항목의 현재 수준 인식과 기대 수준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조사지를 구성하였다. 조사에는 한국어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16명의 대학원생이 참여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현재 수준 말하기 평가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은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기대 수준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현재 수준 인식 중에서 상대적으로 잘 준비되었다고 느낀 항목은 학생 피드백 제공이지만, 기대 수준 인식에서 가장 준비가 필요하다고 인식한 항목은 전달 능력과 사회 문화적 능력이었다. 배경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는 국적과 학력, 전공, 한국어 교육 경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말하기 평가 리터러시 측정 도구의 타당화와 관련하여 측정 영역과 측정 항목을 참여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plore the sub-domains and items that comprise Korean speaking assessment literacy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Methods: Literature on language assessment literacy was reviewed, and a survey was prepared to confirm the current level perception and expectation level perception of speaking assessment literacy. The survey consisted of 19 items on speaking assessment practice, speaking assessment purpose, and speaking assessment knowledge domain. Sixtee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ults: Participants’ current level perception was below average, and the expected level was above average.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items according to nationality, academic background, major, and educational career. Conclusion: Regarding the validation of speaking assessment literacy measures, it is necessary to adapt and design the measurement domain and item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준. (2023).한국어 말하기 평가 리터러시 측정 연구. 새국어교육, (), 477-505

MLA

이성준. "한국어 말하기 평가 리터러시 측정 연구." 새국어교육, (2023): 477-5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