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체적 이해의 문학교육적 구조와 작용 탐구
이용수 109
- 영문명
- Exploration of Literary Educational Structure and Function of Subjective Comprehens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황예인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36호, 291~33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이해의 개념과 속성을 바탕으로 주체적 이해의 문학교육적 구조와 작용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해 개념이 인지적 측면에서만 주목받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해 개념의 심리적·수행적 측면에 주목하였다. 특히 이해의 수행적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주체적 이해’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이를 문학교육적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하이데거의 관계 개념을 참조하였다.
결과: 주체적 이해의 구성 요소를 관계적 요소, 심리적 요소, 수행적 요소로 구분하고 각각의 하위 요소를 밝혔다. 관계적 요소의 하위 요소로는 텍스트, 세계, 자기 자신으로 제시하였고, 심리적 요소의 하위 요소로는 상징화하기, 반응하기, 가치화하기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행적 요소의 하위 요소로 차이 발견, 대화를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문학교육에서 이해 개념의 정교화와 학습자가 문학 텍스트를 주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이 설계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ubjective comprehension in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and properties of comprehens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education.
Metho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oncept of comprehension is receiving attention only from the cognitive aspect, and attention was paid to the psychological and performance aspects of the concept of comprehens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emphasize the performative aspect of comprehension, the concept of ‘jective comprehension’ was reconceptualized in terms of literary education. In this process, Heidegger’s relational concept was mainly referred to.
Result: The components of subjective comprehension were divided into relational, psychological, and performative elements, and the sub-elements of each were identified. Text, world, and self were presented as sub-elements of relational element, and symbolization, reaction, and valuing were suggested as sub-elements of psychological element. Finally, differences discovery, dialog were presented as sub-elements of the performative element.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laboration of the concept of comprehension in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for learners to independently comprehend literary tex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주체적 이해의 문학교육적 재개념화
3. 문학교육에서 주체적 이해의 구성 요소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경언해 』 번역 양상에 대한 일고찰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 관련 신문 기사 분석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전략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 관계에서 학습불안의 조절효과 검증
- 한국어 말하기 평가 리터러시 측정 연구
- 공익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 PBL(Problem Based Learning)을 적용한 문법 수업 사례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발표 교육 내용 선정 연구
- 핵심어 풀이를 활용한 대학 국어국문학과 전공 수업의 실행 연구
- 주체적 이해의 문학교육적 구조와 작용 탐구
- EMME를 활용한 복합양식 텍스트 읽기 지도 효과 분석
- 호주 자국어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역량 반영 양상과 교육적 함의
- 초등 교사의 문해력 개별화 수업을 위한 다문화 배경 학습자 대상 보조 자료 개발
- 예비 국어 교사는 교육실습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성장하는가
- 국어 교사의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 새국어교육 136호 목차
- 생성형 인공지능은 교사의 교육적 질문 생성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가
- 국어 교사의 논술형 평가 전문성 검사 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