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하남지역 선사시대 토성 축성기술 연구

이용수 18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Prehistoric earthen ramparts in Hanam of Chin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봉근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2輯, 77~10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중국 하남지역의 선사시대 토성유적의 축성기술을 살펴보았다. 중국은 신석기시대부터 부엽공법과 삭감(削減)기술, 토제(土堤), 토괴(土塊), 목판과 목주를 사용한 판축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성벽을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층의 양상과 성벽 내에서 확인되는 축성 관련 흔적에 따라 판축구조물을 통해 축조하는 A형, 축조 구간 성토 → 커트 → 덧붙이기 과정을 반복하여 축조하는 B형, 돌출된 자연 지형이나 토제에 덧붙여 성벽을 축조하는 C형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성벽 전체가 단일 축성기술로 축조되는 경우와 기저부와 중심토루, 내‧외피토루를 서로 다른 축성기술로 축조하는 경우도 확인된다. 이러한 축성기술의 다양화는 당대 최첨단 과학기술과 토목기술을 통해 이루어낸 결정체임을 반영하고 있다. 한편, 중국 하남지역의 선사시대 토성의 축성기술을 통해 그동안 중국에서 불명확하게 사용되었던 축성기술의 분류안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다짐이라는 축성의 기본 개념에 착안하여 다짐 방식을 기준으로 ‘항축(夯築)’과 ‘퇴축(堆築)’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항축은 강돌이나 나무막대 등을 사용한 다짐 방식인 항타로 성벽을 축조한다. 항축은 다시 성토 방식에 따라 판축구조물의 유무에 따라 판축(A형)과 직항(B형)으로 세분된다. 특히, 직항은 판축구조물 없이 성벽을 축조하는데, 성벽의 안정성과 견고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짐 강도가 떨어지는 부분을 깎아내는 삭감기술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퇴축(C형)은 박타라는 다짐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다짐 흔적이 확인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고, 자연 지형이나 토제를 활용하여 경사방향으로 성토하는 방식을 보인다. 국내에서는 고대 축성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중국고고학 자료와의 비교‧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용어나 개념상의 문제 등으로 고대 중국의 축성기술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향후 고대 한국의 토성 축성기술을 다각도에서 이해하기 위해 고대 중국의 토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본고가 고대 한국의 토성 축성기술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e article examined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prehistoric earthen ramparts in the Hanam(河南) region of China. From the Neolithic period, China employed various techniques such as the earth-and-branch method, reduction technique, earthwork, earthen rampart, wooden planks, and wooden posts to build city walls. Additional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and evidence of construction within the city walls, three construction types were identified: Type A, which involves constructing panel structures; Type B, which repeats the process of building sections through soil layering, cutting, and adding; and Type C, which involves building walls by adding to protruding natural terrain or earthen features. As a result, both cases of using a single construction type for the entire city wall and combining different construction techniques for foundation, central core, inner, and outer layers were observed. This diversity in construction techniques reflects the pinnacle of contemporary scientific and civil engineering technology of the time. Furthermor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prehistoric earthen ramparts in the Hanam region of China, the article proposed a classification of 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ad been ambiguously used in China. Drawing from the basic concept of compaction, these techniques can be categorized into “hangchuk(夯築)” and “toechuk(堆築)” based on their approach to compaction. Hangchuk involves constructing city walls using materials like stones or wooden pos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panel structures, hangchuk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rammed earth (Type A) and direct compaction (Type B). Notably, direct compaction involves building city walls without panel structures and likely utilized the reduction technique to carve out less stable areas to enhance stability and robustness. On the other hand, toechuk (Type C) uses a wooden planks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or clearly understand compaction traces. This method often involves utilizing natural terrain or earthen materials to create sloping compactions. In Korea, continuous research and comparison with Chinese archaeological data have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ancient construction techniques. However, difficulties have arisen due to terminology and conceptual challenges when interpreting ancient Chinese construction techniques. Overcoming these challenges and fostering ongoing interest and research in ancient Chinese earthen ramparts are essential for gaining insights into ancient Korean earthen ramparts construction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Korean earthwork construction methods.

목차

Ⅰ. 머리말
Ⅱ. 축성기술 검토
Ⅲ. 축성기술의 유형과 특징
Ⅳ. 축성기술의 분류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봉근. (2023).중국 하남지역 선사시대 토성 축성기술 연구. 선사와 고대, (), 77-105

MLA

김봉근. "중국 하남지역 선사시대 토성 축성기술 연구." 선사와 고대, (2023): 77-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