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주 해변 공간 어메니티 인식에 따른 군집 별 관광 활동 연구

이용수 67

영문명
A Study on Tourism Activities by Clusters according to Jeju Beach Space Amenity Perception
발행기관
융합관광콘텐츠학회
저자명
최용복 정헌규
간행물 정보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9권 제2호, 205~220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8.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해변 공간 이용자의 어메니티 인식과 관광 활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관광 활동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도출된 어메니티 인식 요인과 관광 활동 유형을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통하여 표본 데이터를 수집하고 군집분석과 IPA를 통하여 표본 데이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해변 공간 이용자는 어메니티 인식의 차이에 따라 인식 정도가 높은 군집과 인식 정도가 낮은 군집, 인식 정도가 보통인 군집, 그리고 부분적으로 인식 정도가 높은 군집으로 세분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IPA를 통하여 자연경관 감상형과 쇼핑/맛집형은 만족도와 중요도가 모두 높은 활동 유형이며 레저스포츠형과 인문경관 관람형은 만족도와 중요도가 모두 낮은 활동 유형, 그리고 체험형은 만족도는 높으나 중요도는 낮은 활동 유형임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군집별 IPA를 통하여 어메니티 인식 수준에 따라서 해변 공간 이용자가 생각하는 관광 활동 유형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레저스포츠형과 체험형의 경우 군집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해변 관광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기존의 정책적 고려와 기술적 고려가 중요하지만 이러한 고려와 함께 관광객의 어메니티 인식에 대한 이해도 선행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해변 관광 개발에 있어서 이러한 어메니티 인식과 관련된 사항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menity perceptions and tourism activities of beach space users and draw implications for tourism activities in beach spaces. Methods Samp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based on amenity perception factors and tourism activity type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view.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the sample data.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beach space users can be subdivided into high-awareness, low-awareness, moderate-awareness, and partially-awareness group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amenity perception. In addition,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atural landscape viewing type and shopping/restaurant type are activity types with both high performance and high importance, the leisure sports type and humanistic landscape viewing type are activity types with both low performance and low importance, and the experience type is an activity type with high performance but low importance. Finally,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y cluster,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ourist activity types of beach space users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menity percep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cluster, especially for leisure sports and experience types. Conclusion While existing policy and technical considerations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beach touris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ourists' amenity perceptions alongside these conside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these amenity perceptions in beach tourism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용복,정헌규. (2023).제주 해변 공간 어메니티 인식에 따른 군집 별 관광 활동 연구. 융합관광콘텐츠연구, 9 (2), 205-220

MLA

최용복,정헌규. "제주 해변 공간 어메니티 인식에 따른 군집 별 관광 활동 연구." 융합관광콘텐츠연구, 9.2(2023): 205-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