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극 안무의 기능과 변화

이용수 0

영문명
The Function and the Evolution of Choreography in Changgeuk: On , “Mr.Rabbit and the Dragon King”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이현주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3집, 237~295쪽, 전체 5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9,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극을 포함한 음악극에서 안무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기록된 자료가전무한 형편이다. 안무자는 있지만 안무노트는 없어서 재공연이 될 경우에도 항상 새롭게 안무하는 것이 일종의 관습이 되었다. 이같은 관습이 창극안에서의 배우와 무용수 사이에서 이질감을 키워왔다. 이 논문은 기왕의창극 공연에서 안무의 기능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본 다음, 창극 <수궁가>를통하여 새로운 안무 가능성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판소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몸동작과 춤을 의미하는 너름새의의미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2장 ‘판소리의 너름새와 창극의 무용’에서는 국립창극단에서 공연한 창극 <수궁가>를 대상으로 기존의 창극 안무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그동안의 창극 안무는 무용수에게 특별한 기능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단순히 무용수의 숫자로 무대를 메워 풍성함을보여주거나, 장면을 화려하게 꾸미거나, 또는 배우들이 움직이기 힘든 긴동선을 움직일 때 무용수들을 활용해왔던 관례를 확인하였다. 3장 ‘창극 <수궁가> 안무의 기능과 변화’에서는 아힘 프라이어 연출의<수궁가>Mr. Rabbit and the Dragon King 안무 작업에 대하여 의도를 밝히고 그 과정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캐릭터는 마담판소리, Mr. Rabbit, 별주부, 용왕, 호랑이, 앙상블과 코러스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장면별로 앙상블과 코러스들이 몸동작과 춤추는 장면의 안무를 자세히기록하였다. 이 작품의 안무 정리를 통하여 창극에서 안무의 기능과, 안무전통의 변화의 모습,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전망을 이루고자 하였다. <수궁가>Mr. Rabbit and the Dragon King의 안무는 기존에 있었던 창극안무와는 일정하게 차별화되고 있다. 안무를 창극 배우들이 충분히 소화해낼 수 있는 동작으로 단순화하여 배우들의 소리호흡과 춤호흡이 조화를이룰 수 있게 하였으며, 배우들 각자의 다양한 소리춤을 통일시켜 안무가 전체적인 극 흐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이러한 움직임의 동질감을통해 극이 이분화 되지 않도록 안무되었다. 또한 배우들이 노래 호흡에맞게 춤사위와 춤 호흡을 배우는 과정에서 그들 스스로가 소리호흡과 춤호흡의 일치점을 찾아내어, 창극 속에서 안무적 의미의 정합성이 드러나게하였다. 창극이 전문화되기 위해서는 소리춤을 안무의 범주로 끌어들여 전문성으로 인식시켜야 한다. 그런 인식 아래 창극배우들은 전문적인 훈련을 통하여 노래와 사설을 춤으로 형상화하는 훈련을 통하여 무용 신 자체도 직접 소화시켜 춤을 춰서 그 자체만으로도 완결성을 지닌 안무가 되어야 한다. 안무의 방향은 창극의 본질을 해치지 않으면서, 소리의 사설을 함축적동작으로 표현하거나, 상징적 형태미로 구축해야 한다. 그래서 창극의 극중 장면과 무용장면이 동질화되면서 하나로 조화를 이루어내야 하는 것이지금 우리의 과제이다.

영문 초록

The choreography in traditional musical performances in Korea, including Changgeuk, is never recorded in any sources, despite its possible academic significance. There are always dancers, but there are almost no written guideline to the dancing, so it became a tradition to always create a new set of choreography for each performances. This tradition formed a barrier between the singers and the dancers. This paper first aims to explain the evolving role of choreography throughout the history of Changgeuk, and to see a new possibility of evolution that was shown in . The first chapter of the analysis is “Neorumsae,” which is the word for the basic movements and choreography. The second chapter, “Neorumsae of Pansori and the Choreography of Changgeuk,” scanned through the artistic evolution of Changgeuk in our history. During the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in a lot of cases, the dancing in Pansori mostly contained less skill, but a lot of dancers with flamboyant costumes, and also dancers were used where the actors could not afford to move in a length on the stage. The Third chapter, “The Function and the Evolution of Changgeuk -”Mr. Rabbit and the Dragon King,“ I have recorded intention and the function of every choreography in the show. The characters whose choreography was analyzed were Madame Pansori, Mr. Rabbit, Turtle, The Dragon King, Tiger, ensemble and teh chorus for each scene.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choreography in this work made a vision of a new possibility in traditional choreography. Tha choreography of ”The Function and the Evolution of Changgeuk -“Mr. Rabbit and the Dragon King,”is unique in a way that the movements are simplified enough so that the singers can harmonize between the tempo of singing and dancing, and the choreography itself becomes an influence to the play as a whole, and so the show is not divided into two parts. Also, when the singers learn the tempo of both singing and dancing, they themselves reveal the meaning and the significance of choreography in traditional play. In order to recreate Changgeuk into a professional genre, it is important to make the choreography professional. The actores therefore need to train themselves to turn their musical trade into dance moves, into a choreography that is artistically complete on its own. The goal of any choreography in Changgeuk is not hurting the essense of it, yet expressing the sound of it to symbolic structure, so that the dances an the scenes become one.

목차

1. 서론
2. 판소리의 너름새와 창극의 무용
3. 창극 <수궁가> 안무의 기능과 변화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현주. (2012).창극 안무의 기능과 변화. 판소리연구, (), 237-295

MLA

이현주. "창극 안무의 기능과 변화." 판소리연구, (2012): 237-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