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극조 대춘향가』에 나타난 서편제 춘향가의 전승 양상

이용수 0

영문명
Transmission Aspect of Seopyeonje Chunhyangga in Changgeukjo Daechunhyangga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송미경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3집, 105~151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한덕수·정광수 합편 「창극조 대춘향가」(1954)의 간행 배경을 살피는 한편, 정광수의 또 다른 춘향가 창본인 「전통문화오가사전집」(1986)과의 비교를 통해 「창극조 대춘향가」의 내용과 대목 구성, 더늠 상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창극조 대춘향가」가 지니는 자료적 가치와 전승사적 의미를 밝혔다. 우선 「창극조 대춘향갸」의 간행 배경은 다음과 같다. 전남 지역에서 보통학교 훈도로 근무했던 한덕수는 평소 판소리에 관심이 있었다. 이에 퇴직 후 광주에서 대서소를 운영하면서 인근의 광주국악원에서 판소리를 배웠다. 이때 함께 소리를 배웠던 경감 출신의 채이석이 춘향가 사설집의 발간을 제안했고, 한덕수는 그 제안을 수용하여 당시 광주국악원의 소리 사범으로 있던 정광수와 함께 사설을 정리했다. 당시 발간 비용은 채이석이 부담했다. 한편, 정정렬 바디 중심으로 재편된 「창극조 대춘향가」의 이별 장면은 공동 편자 한덕수의 주장이 특히 강력하게 반영된 부분이었으며, ‘사벽도 사설’도 그의 주도 하에 삽입된 대목이었다. 다음으로 「창극조 대춘향가」와 「전통문화오가사전집」을 비교한 결과, 춘향이 옥에 갇히는 부분, 이도령이 암행어사를 제수 받고 남원으로 내려오는 부분에서 대목이 구성되는 순서상의 차이가 있었다. 또 「창극조 대춘향가」의 ‘건장한 두패조군’·‘술상차려’·‘내행차 나오는데’·‘천지 삼겨’, 「전통문화오가사전집」의 ‘내모신 도령님이’·‘낭군타령’·‘정자노래’·‘봉사 해몽’은 각기 해당 창본에만 삽입된 대목이었다. 서로 장단과 사설 내용이 완전히 다른 대목으로 ‘이도령 인물치레’, ‘적성가’, ‘춘향집 가리키는 데’, ‘퇴령소리’, ‘달도밝고 달도밝다’, ‘회동성참판’, ‘술상 차리는 대목’, ‘사랑가’, ‘춘향 사생결단’, ‘이별가’, ‘군로사령’, ‘춘향이 여짜오되’, ‘춘향 발악’, ‘십장가’, ‘어사와 농부 문답’, ‘방자 문안’, ‘춘향 유언’, ‘어사와 춘향 상봉’ 등이 있었다. 한덕수·정광수의 「창극조 대춘향가」는 고(故) 서편제 김창환 바디 <춘향가>와 신(新) 서편제 정정렬 바디 <춘향가>를 아우르는 창본이었으며, 서편제 명창 박종원은 이 책의 발간에 축사로 지지를 표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창극조 대춘향가」를 1950년대 판소리계에 존재했던 신구(新舊) 서편제 춘향가의 합편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nquires closely into the background of publication of Changgeukjo Daechunhyangga, by Han Deoksu and Cheong Gwangsu, and its contents, composition of parts, distinguishing deoneum, and its historical material value. The details of publication of Changgeukjo Daechunhyangga is as follows. Han Deoksu,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Jeollanam-do, had interested in pansori. So, after his retirement, he learned pansori in Gwangju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e near his scrivener´s office. Chae Iseok, the former police inspector, took pansori lessons with Mr. Han, and suggested he should publish the script of Chunhyangga. Mr. Han accepted Mr. Chae's advice and made the script with Cheong Gwangsu, a teacher in Gwangju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e, under the sponsorship of Mr. Chae. Meanwhile, Mr. Han maintained his opinions strongly on the farewell part and the sing of the four paintings on the wall in the Chunhyang's room. Next, Changgeukjo Daechunhyangga(1954) and Jeontongmunhwaogasajeonjip(1986), another pansori script book by master singer Cheong Gwangsu, have different order of chang(singing) and aniri(recitation) in two parts. One is that Chunhyang was put in jail and the other is that Doryeong Lee became a Royal secret inspector and went to Namwon. And, the following pieces of Changgeukjo Daechunhyangga differ from Jeontongmunhwaogasajeonjip in jangdans(rhythmic patterns) and contents: the song of Lee's makeup, the song of Jeokseong, the song of pointing toward Chunhyang's house, the song of getting off work, the song of the glorious silvery moon, the song of Vice minister Seong from Hoedong, the song of preparing drinks and snacks, the song of love, the song of Chunhyang's last ditch, the song of farewell, the song of lower servants of the Ministry of Justice, the song of appealing to the new magistrate, the song of protesting Chunhyang, the song of beaten Chunhyang, the witticism of question and answer with the Royal secret inspector and farmers, the song of Bangja paying his respects to Lee, the song of Chunhyang' will, and the song of the meeting of Lee and Chunhyang. This Changgeukjo Daechunhyangga includes the old Badi by Kim Changhwan and the new Badi by Cheong Jeongryeol. So, Park Jongwon, the master singer in same school, that is seopyeonje, supported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sending congratulatory address. It is possible to appoint this script as the comprehensive book of the old and new seopyeonje Chunhyangga in the 1950's performing pansori arts world.

목차

1. 머리말
2. 한덕수·정광수 합편 『창극조 대춘향가』의 간행 배경
3. 정광수 창본 『창극조 대춘향가』 와 『전통문화오가사전집』 의 비교
4. 『창극조 대춘향가』에 나타난 서편제 춘향가의 전승양상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미경. (2012).『창극조 대춘향가』에 나타난 서편제 춘향가의 전승 양상. 판소리연구, (), 105-151

MLA

송미경. "『창극조 대춘향가』에 나타난 서편제 춘향가의 전승 양상." 판소리연구, (2012): 105-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