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세기 전반기의 경상도 지역의 판소리 문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Pansori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김석배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3집, 35~6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 20세기 전반기의 경상도 지역의 판소리문화 전반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도 지역은 동편제 소리문화권이었다. 경상도 지역에는 19세기 후기에 송흥록, 박만순, 김제철 등이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고, 20세기 전반기에 박기홍, 송만갑, 이동백, 유성준, 이선유, 정정렬 등이 활동하였다. 동편제는 장중하고 온화하면서 씩씩한 느낌의 우조와 풍부한 성량을 바탕으로 감정을 절제하며, 대마디대장단을 사용하여 기교를 부리지 않는 소리이다. 경상도 지역에서 동편제 소리를 선호한 것은 동편제의 특징이 이 지역 사람들의 기질과 비슷한 점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20세기 전반기에 경상도 지역에는 박기홍, 송만갑, 이동백, 유성준, 이선유, 정정렬, 조학진, 박지홍, 강태홍, 박동진 등이 활동하였다. 그리고 대구 출신의 강소춘, 김추월, 김초향, 경북 출신의 박록주, 박귀희와 경남 출신의 신금홍 등의 여류명창이 등장함으로써 이 지역도 명창의 산출지 및 판소리의 생산지로서의 위상을 지니게 되었다. 셋째, 20세기 전반기에 판소리 전승은 주로 기생조합(권번)에서 이루어졌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달성권번과 경주권번이 대표적인 전승 공간이었고, 부산․경남 지역에서는 부산의 동래권번과 봉래권번, 진주의 진주권번, 마산의 남선권번 등이 대표적인 전승 공간이었다. 그리고 판소리 공연은 극장에서 주로 이루어졌는데,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대구극장, 만경관, 대구공회당 그리고 김천의 김천극장, 경주의 경주극장이 대표적인 연행 공간이었고, 부산․경남 지역에서는 부산공회당, 마산의 수좌와 공락관, 진주의 진주좌가 대표적인 연행 공간이었다. 경상도 지역은 판소리의 불모지로 알려져 왔지만 「조선창극사」를 살펴보면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경상도 지역이 판소리사의 전개 속에서 일정한 위상을 지니기 시작한 시점은 19세기 후기로 짐작되고,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전라도나 충청도 지역에 못지않은 판소리의 생산지 및 소비지로서의 위상을 지니게 되었다.

영문 초록

Gyeongsang Province has been known as the wasteland of pansori, but it is not true according to 『Joseonchanggeuksa』. It is assumed that Gyeongsang Province began to play a role in the history of pansori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developed into a reg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ansori like Jeonla and Chungcheong Provinces in the 20th century. This thesis has explored pansori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yeongsang Province was in the scope of Dongpyeonje pansori. Pansori singers in Gyeongsang Province in the late 19th century were Song Heungrok, Park Mansun, and Kim Jecheol. Those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Park Kihong, Song Mangab, and Lee Dongbaeg. Dongpyeonje Pansori controls emotions on the basis of majestic, mild and strong Ujo and rich voice, and does not use any skill with the help of Daemadidaejangdan. The reason why Gyeongsang Province favored Dongpyeonje pansori may be that the characters of Dongpyeonje pansori was similar to those of the people living in Gyeongsang Province. Second, those who taught pansori at Kwonbeon in Gyeongsang Provinc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Park Kihong, Song Mangab, Lee Dongbaeg, Yu Seongjun, Lee Seonyu, Jeong Jeongryeol, Jo Hagjin, Park Jihong, Kang Taehong, and Park Dongjin. With the advent of Kang Sochun, Kim Chuwol, Kim Chohyang, Park Rokju, Park Gwihui, and Sin Geumhong. Gyeongsang Province also became a producing place of great pansori singers and pansori. Third, the handing down of pansori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occurred at Kwonbeon. Some representative Kwonbeon were Dalseongkwonbeon, Kyeongjukwonbeon, Dongraekwonbeon, Bongraekwonbeon, Jinjukwonbeon, and Namseonkwonbeon. Pansori was mostly performed at a theater, such as Daegukeugjang, Mangyeongkwan, Daegugonghoedang, Kimcheonkeugjang, Kyeongjukeugjang, Pusangonghoedang, Sujwa, Kongrakgwan and Jinjujwa.

목차

1. 머리말
2. 경상도 지역의 판소리문화의 기반
3. 경상도 지역의 판소리 명창
4. 경상도 지역의 판소리 전승 공간과 연행 공간
판소리 연행 공간과 극장 2)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석배. (2012).20세기 전반기의 경상도 지역의 판소리 문화 연구. 판소리연구, (), 35-66

MLA

김석배. "20세기 전반기의 경상도 지역의 판소리 문화 연구." 판소리연구, (2012): 3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