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화 변동과 판소리

이용수 7

영문명
The change of culture and pansori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최동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1집, 423~45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판소리의 공연문화의 변동과 판소리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전의 연구 결과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현상을 기술하는 데 그치고자 하였다. 다만 20세기 이후 전체를 아우르던 쇠잔기는 1964년을 기준으로 쇠잔기와 보존기의 둘로 나누어 각 시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기는 판소리의 형성기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제의에서 놀이로 존재했다. 문희연을 비롯한 특별한 행사에 그 행사를 빛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놀이 중 하나로 판소리가 향유되었던 시기였다. 공연장소는 전정이었다. 두 번째 시기는 전성기로서 1902년까지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중상층의 오락과 유흥에서 노래로 향유되었다. 판소리가 그 자체로 향유되기 시작하면서, 판소리는 예술적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름을 얻은 사람들이 명창으로 이름을 남겼다. 공연장소는 방중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시기는 쇠잔기로서 1902년부터 1964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판소리의 공연장소는 극장이 되었으며, 공연 종목은 창극, 또는 협률사 형태로 다른 공연 종목과 함께 공연되었다. 향유층은 일반 대중이 되었고, 판소리는 흥행 예술이 되어 상품으로 존재했다. 이 시기의 끝에 판소리는 여성국극을 끝으로 판소리는 완전히 몰락하였다. 그리하여 판소리는 상품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네 번째 시기는 보존기로서 국가가 판소리의 보존과 전승에 관여하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의 판소리는 민족문화 유산으로 그 가치가 재발견되어 고급예술이 되었다. 공연장소는 극장이었으나, 완창발표회라는 양식이 도입되어 판소리 단독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형식이 유행하였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설립된 기관에서도 판소리와 창극을 공연하였다. 이 시기 청중은 각성된 지식인과 학생이 주류를 이루었고, 원형 유지를 중요한 원칙으로 삼아 사진소리가 유행하게 되었다. 각급 교육기관에 판소리 전공을 두어 학생을 가르치게 된 것도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 시기 판소리 공연의 가장 큰 특징은 무료 혹은 거의 무료로 공연된다는 점이다. 이제 판소리는 자생력을 완전히 잃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완전히 잃고, 더불어 판소리로부터 감흥을 느낄 수 있는 적극적 향유층도 갖지 못한 판소리가 언제까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에 힘입어 생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판소리 관련자들의 대오각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of pansori performance and the pansori itself.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former studies were fully adopted. Therefore in this study I am going to concentrate on the description of being. But the declining period that covers the period from 2,000 to present, will be divided into declining period before 1964 and the preservation period after 1964 in this study. The first period is the formative period of pansori. In this period, the pansori was enjoyed as a play in the rites.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to celebrate the special events for example passing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court.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of prosperity. This period is from the end of the first period to 1902. In this period pansori was enjoyed as a song in the middle and upper class's pleasure and amusement. The pansori was highly developed as an art. In this process, many singers became famous as a pansori myeonchang(maestro).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changed from a court to a room. The third period is the period of declining. This period is from 1902 to 1964. In this period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in the theater. The major form of performance was the changgeuk(pansori theater) or hyeopryulsa (packag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The class of audience was the mass of people. The pansori became an popular entertainment. And pansori was considered as a goods. At the end of this period the pansori was throughly declined and lost the value of a goods. The fourth period is the period of preservation. In this period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pansori. The pansori was reevaluated as a major national cultural asset.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theater. But the form of performance was wanchang (singing a pansori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Many provincial governments established the changgeuk company. So the most of the performance were held for free. The audience of this period were the intellectuals and the students. It is very distinguishing that pansori is taught in many art schools. Now the pansori throughly lost the power of self-existing. The pansori is preserved by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But the future of pansori is very uncertain. Because the pansori had lost its value as a goods and there are not so many positive audiences who can feel the emotion of pansori.

목차

1. 논의의 범위와 방향
2. 형성기:제의와 놀이
3. 전성기:오락, 유흥과 노래
4. 쇠잔기:대중문화와 상품
5. 보존기:고급문화와 민족문화유산
6.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동현. (2011).문화 변동과 판소리. 판소리연구, (), 423-454

MLA

최동현. "문화 변동과 판소리." 판소리연구, (2011): 423-4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