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이용수 5

영문명
An Early-Modern Transformation of the Pansori EpicChant Saetaryeong (Bird Song): Based on phonograph records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배연형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1집, 201~237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판소리 새타령에 속하는 더늠의 문학적인 내용과 음악적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새타령은 매우 역사가 깊은 노래로 잡가에서부터 판소리로 차용되어 들어오면서 음악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잡가 새타령은 새의 특징이나 소리를 묘사하는 음악이었는데, 판소리 적벽가에 차용되면서 적벽화전에 죽은 군사들이 영혼을 새소리로 비유하여 묘사하는 노래로 바뀌었다. 잡가 새타령은 원래 타령(자진몰이) 장단으로 짜여 있으며, 이것은 나중에 중중머리로 바뀌었다. 판소리에서는 새타령을 세마치나 중머리로 짜서 불렀는데, 현재는 중머리 새타령만 전승된다. 판소리에서 자진몰이 대목은 보통 중중머리로 바뀐다. 그러나 적벽가 새타령이 중머리로 바뀐 것은 노래의 성격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잡가 새타령은 노랫말과 장단의 맺음이 일치하지만, 판소리 새타령은 문장의 종결과 음악적 맺음이 어긋나게 작곡되어 있다. 잡가는 새소리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므로 문장과 장단이 일치하여 경쾌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지만, 적벽가 새타령은 전투에서 죽은 영혼들을 원한을 그로테스크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문장과 장단을 일치하지 않게 짰기 때문에 오히려 낯설음과 불편함을 주는 것이다. 한국음악은 고정된 틀, 매너리즘 문체를 가진 노래였는데, 광대들은 새타령처럼 상황(이면)에 맞는 개성있는 표현을 통해 재창조함으로써 판소리를 발전시켜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Pansori epic chant, Saetaryeong (Bird Song), to define its Pansori Aria's literary contents and musical structure. The Bird Song has a long history, and underwent musical changes as it was borrowed into Pansori epic chant from a lyric song.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a music piece depi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sounds of birds, but as it was borrowed into Jeokbyeokga the Pansori Red Cliff Story, it changed into a song which compared the deceased souls in the Jeokbyeok battle to sounds of birds. The lyric song Bird Song was originally comprised of Taryeong (Jajinmori) ‘O-O/O-O/O-O/O--//’ (triple meter) rhythm, and was later changed into the Jungjungmeori rhythm. In Pansori, the Bird Song was called Semaci 6 time or Jungmeori 12 time ‘OOO/O--//OOO/O--//’(6+6=dodecameter), but only Jungmeori Bird Song has remained until present day. In Pansori, the Jajinmori part normally changes into Jungjungmeori. However, the Jeokbyeokga Bird Song changed into Jungmeori, because the song changed its characteristics. The lyric song Bird Song has words of song and rhythm closing being consistent. However, the Pansori chant Bird Song has the closing of sentence and musical closing being inconsistent. The lyric song sings the beauty of sounds of birds allowing the sentence and rhythm to be consistent, and giving it a light and comfortable feeling. However, the Jeokbyeongga Bird Song was made to have the text and rhythm being inconsistent to grotesquely express the sorrow of deceased souls in war, giving the audience the feeling of being strange and uncomfortable. This is the aesthetics of Bird Song. Korean music before the 19 century consisted of songs with fixed frames and mannerism, and Gwangdae (feat singers) recreated such Korean music with individualistic expression according to situations (imyeon) like with Bird Song. Thus, Gwangdae endeavored to transform Pansori into individualistic, realistic, modern music.

목차

1. 서론
2. 새타령 노랫말의 의미 분석
3. 새타령의 음악적 구조
4. 잡가 새타령과 적벽가 새타령
5. 새타령의 음악적 변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연형. (2011).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판소리연구, (), 201-237

MLA

배연형. "판소리 새타령의 근대적 변모." 판소리연구, (2011): 201-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