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주국악사의 전개와 명고 김성권의 역할

이용수 0

영문명
A Role of Kim Sung-Gwon in the History ofKorean Traditional Music(Gukak) in Gwangju: Focused on the Postcolonial Period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이명진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31집, 23~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광주는 해방이후 국악교육과 창극단체의 활동이 매우 활발했던 지역으로 수많은 명인·명창들이 찾아든 곳이다. 당시 광주에는 부유한 풍류객이 많았고, 이들은 판소리를 즐기며 후원도 아끼지 않았다. 1950년 경 중앙에서 판소리가 경쟁력을 잃었을 때에도 광주에는 무수한 풍류객이 있었다. 한편 광주판소리는 박동실의 월북으로 인해 크게 흔들렸고, 심지어 ‘김채만-박동실’로 이어지는 판소리는 절멸의 위기에 봉착하기도 했다. 하지만 해방이후 지역을 중심으로 꿋꿋하게 활동한 명인·명창들로 인해, 오늘날 광주에는 보성소리, 동초제, 동편제 등 여러 유파들이 아우러져 광주지역의 개성 있는 판소리사를 써내려가고 있다. 본고에서 논의한 명고 김성권은(1926~2008) 광주국악사의 가장 굴곡적인 시기부터 광주를 무대로 하여 평생을 활동한 명인이다. 게다가 그의 집안은 광주판소리의 초석을 이루는 역할을 했다. 그의 종조부인 김채만은 광주 속골에 거주했던 명창으로 박동실, 성원목, 박종원, 공창식, 한성태 등 내로라하는 제자들을 길러냈다. 그의 부친 역시 소리꾼으로 활동하며, 협률사를 조직해 창극의 발전에 힘썼던 인물이다. 이런 가족사로 인해 김성권은 어린 시절부터 오랫동안 판소리와 고법을 몸에 익힌 전문적인 소리꾼이자 고수이며, 1991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김성권의 기록이나 발자취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중앙이 아닌 지방에서 활동하는 인물이 가지는 약점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해방이후 광주를 중심으로 펼쳐졌던 국악사를 정리하고 그 전개양상 속에서 김성권이 어떤 구심점 역할을 수행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해방이후의 광주국악사를 1기(해방~1950년대), 2기(1960년~1985년), 3기(1986년~2009)로 나누고, 해당 시기별 김성권의 생애사적 변화, 국악사적 역할과 위상 등을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광주국악사의 전개 속에서 김성권이 이룩했던 성과는 첫째, 집안 대대로 광주판소리 전승계보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는 구심점으로서의 역할, 둘째, 김성권류의 판에 박히지 않는 고제 고법을 통해 광주고법을 정립, 셋째, 광주지역의 고수로써 꿋꿋하게 지역을 수호하는 거목이었다는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영문 초록

Gwangju in South Korea was where Korean traditional music had been educated and its traditional opera companies had actively given their performances since Korea was freed from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us many masters flocked there. In those days there lived many men of taste in Gwangju, who were wealthy and enjoyed their traditional music and was dedicated to supporting it. In the 1950s the traditional music lost competitiveness, but in Gwangju there were many men of taste. Meanwhile, the traditional music in Gwangju(Gwangju-Pansori) suffered greatly with Park Dong-Sil’s defecting to North Korea. As Gwangju-Pansori had passed down to Kim Chae-Man and Park Dong-Sil, his defection drove it into a crisis of disappearance. But fortunately, many masters have upheld it since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s a result, in Gwangju various schools such as Boseong-Sori, Dongchoje, Dongpyeonje and others have retained the history of Gwangju-Pansori. This study is focused on Kim Sung-Gwon(1926–2008), a master of Pansori who engaged in his activities with Gwangju as his stage from when Gwangju -Pansori was gulped down by the angry waves. In addition,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his family laid in the foundation of Gwangju-Pansori. His great-uncle Kim Chae-Man, was a master of Pansori who lived in Sokgol in Gwangju and turned out the renowned such as Park Dong-Sil, Seong Won-Mok, Gong Chang-Sik, Han Sung-Tae and others. Moreover, his father was a renowned singer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opera by establishing an organization, HyeopRyulSa. Thanks to the family, Kim Sung-Gwon naturally came across how to sing the traditional songs and to play the drum from childhood, and as a result became a professional singer and drummer. In particular, he was appointed to be a human cultural asset in 1991. But regrettably, records fail to show the course of his life, which was an insuperable disadvantage of rural artists. This study is to arrange the postcolonial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and around Gwangju, as well as to inquire into the historical activities of Kim Sung-Gwon. Hereat the postcolonial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divided into three phases, i.e., phase I (independence–the 1950s), phase II (1960–1985) and phase III (1986–2009). This study looked into the activities of Kim Sung-Gwon as to changes in his life, role and status in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he history of traditional music in Gwangju, Kim Sung-Gwon achieved the followings:First, he was the pivotal figure in passing down Gwangju-Pansori for generations. Second, he did not stick to his own style but came up with Gwangju Drumming on the basis of old-fashioned drumming. Third, he performed a role of a great drummer in Gwangju and upheld local art.

목차

1. 머리말
2. 해방 이후 광주국악사의 전개와 김성권의 역할
3.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진. (2011).광주국악사의 전개와 명고 김성권의 역할. 판소리연구, (), 23-52

MLA

이명진. "광주국악사의 전개와 명고 김성권의 역할." 판소리연구, (2011): 2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