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월중선(張月中仙) 명창론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a Pansori Singer, Jang Wol-jung-seon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서인화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19집, 287~31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월중선(1925-1998)은 명창 장판개(1885-1937)의 조카로 판소리를 비롯하여 가야금, 아쟁 등 연주, 작곡, 연기, 춤 등에도 특출하였으며, 박동실(1897-1968)이 창작한 유관순열사가를 배워 이를 전승시켰고, 1963년부터 경주에서 국악계를 이끌어오다 1993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가야금병창 기능 보유자가 되었다. 장월중선은 곡성군 오곡면 묘천리 4번지에서 출생하여, 곡성과 순창에서 살았던 백부 장판개에게 소리 공부를 시작했다. 소리꾼이었던 부친 장도순이 사망한 후, 모친 강인자는 운봉에 살기도 했다. 장월중선은 이후 13세 무렵부터 광주에서 박동실에게 심청가 전바탕과 춘향가, 유관순열사가를 비롯한 창작 열사가를 배웠다. 이밖에도 장수향, 임석윤, 오태석, 정자선, 한갑득, 김윤덕, 이동안, 박송암 등 당대 최고의 명인명창들에게 동․서편의 판소리와 창극, 산조, 가야금병창, 범패, 춤 등을 학습하여 다양한 장르의 예술에 두루 통달하였다. 그러나 장월중선의 예술의 모체는 무엇보다도 판소리였다. 이중에서도 특히 장월중선이 박동실의 많은 제자들이 계속해 부르지 않았던 유관순열사가의 온전한 한바탕을 전수한 것은 그가 유관순열사가에서 요구되는 자유자재한 상청, 뚜렷한 리듬과 선율선, 빠른 극적 전개를 처리할 수 있는 테크닉과 강한 표현력을 소유했을 뿐 아니라, 창작판소리인 유관순열사가의 음악적 가치를 인정하고 이를 전승해야겠다는 의지를 가졌기 때문이었으리라고 생각된다. 1952년부터는 목포에서 목포국악원을 운영하면서 안향년, 신영희, 김일구 등 수많은 판소리 명창들을 길러냈다. 장녀 정순임, 차녀 정경옥은 장판개제 수궁가를 각각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으로 연주하고 있으며, 특히 정순임은 장월중선이 박동실에게 전수한 심청가와 유관순열사가도 활발하게 공연하고 있다. 그러나 장월중선은 1963년부터 경주에서 생활하게 되면서, 약 30년 동안 경주 지역의 특성상 판소리보다는 기악과 춤을 많이 전수하였고, 1993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가야금병창으로 지정되었다. 장월중선이 그의 예술의 본령인 판소리로 문화재 보유자가 되지 않아 본인이나 그의 제자들에게 아쉬움을 남긴 것은 지역 문화재 제도 수행의 복잡한 양상, 판소리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호남 예인들의 의식을 반영한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Jang Wol-jung-seon(1925-1998), niece of the master singer Jang Pan-gae(1885-1937), was good at playing instruments including Gayageum and Ajaeng, and also good at music composition, acting, and dancing as well as Pansori singing. Jang learned Yugwansun-yeolsaga (the Song of a Patriot, Yu Gwan-sun) from its composer, Park Dong-sil, and transmitted it to her disciples. She began to live in Gyeongju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n 1963. She was designated as a holder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19 in Gayageum-byeongchang by Gyeongsangbukdo provincial government in 1993. Jang Wol-jung-seon was born in 4 Myocheon-ri Ogok-myeon Gokseong-gun Jeollanamdo Province. She learned Pansori from her uncle, Jang Pan-gae who lived in Gokseong and Sunchang. After Jang Wol-jung-seon's father Jang Do-sun, who also was a Pansori singer, died early, her mother Gang In-ja lived in Unbong for some time. From the time she was about 13 years old, Jang Wol-jung-seon began to learn Pansori, including Simcheongga (the Song of Sim Cheong), Chunhyangga (the Song of Chunhyang) and songs of patriots, such as Yugwansun-yeolsaga from Park Dong-sil in Gwangju. In addition to Pansori in both the eastern and western schools, she also mastered a variety of music and dance, such as Changgeuk (folk opera), Sanjo, Gayageum-byeongchang, Beompae, and dance by learning them from the great master artists of the times, such as Jang Su-hyang, Im Seok-yun, O Tae-seok, Jeong Ja-seon, Han Gap-deuk, Kim Yun-deok, Lee Dong-an, Park Song-am. Among many different genres of arts, Pansori was the primary art practised by Jang Wol-jung-seon. Especially, the fact that Jang Wol-jung-seon sang the complete version of Yugwansun-yeolsaga, which was forgotten by many other disciples of Park Dong-sil, shows that she had a strong will to transmit a newly composed Pansori, Yugwansun-yeolsaga, and that she had a voice good at high range and the technique to perform fast passages, both of which are required to sing Yugwansun-yeolsaga. Jang Wol-jung-seon educated a lot of Pansori singers, such as An Hyang-nyeon, Sin Yeong-hee, Kim Il-gu in the Cent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he established in Mokpo in 1948. Sugungga in the school of Jang Pan-gae is transmitted by her daughters, Jeong Sun-im and Jeong Gyeong-ok, in the form of Pansori and Gayageum-byeongchang, respectively. Simcheongga and Yugwansun-yeolsaga that Jang Wol-jung-seon learned from Park Dong-sil is transmitted by her disciples, such as Jeong Sun-im. Jang Wol-jung-seon began living in Gyeongju in 1963. Since then, due to the people's tastes in the Geyonju area, she has had to transmit instrumental music and dance more than Pansori to her disciples for about 30 years. The fact that she became a holder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No.19 in Gayageum-byeongchang didn't satisfy her and her disciples because they felt that her main art was not Gayageum-byeongchang but Pansori. It reflects a complicated aspect of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people's recognition of Pansori as a total art and a germ of many other form of arts.

목차

Ⅰ. 머리말
Ⅱ. 장월중선의 생애와 활동
Ⅲ. 장월중선의 학습 내용과 장르별 특징
Ⅳ. 장월중선의 예술세계에서 판소리의 의미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인화. (2005).장월중선(張月中仙) 명창론. 판소리연구, (), 287-312

MLA

서인화. "장월중선(張月中仙) 명창론." 판소리연구, (2005): 287-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