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맥락에서 친환경식품 개념 정립
이용수 278
- 영문명
- Conceptualizing Environmentally Sustainable Food in the ESG Context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이수민 장서희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4호, 25~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는 글로벌 경쟁이 아닌 글로벌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상황을 만들었고 특히 기후변화와 맞물린 식품 위기와 안정성은 인간 생존 문제와 직결되는 중대한 과제이기 때문에 글로벌 식품체계전환을 위한 새로운 친환경식품 개념 정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현한 ESG라는 거대한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전통적 패러다임의 친환경 식품 접근은 그린워싱 사례들로 이어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을 통해 ESG의 식품체계 전환 흐름에 맞춰 친환경식품 개념 정립을 시도하였다. 친환경식품은 ‘식품의 생산·제조·가공·유통·소비의 전 과정을 포함하는 식품체계에서 지속 가능한 식품으로, 화학적 성분·자재 (합성농약·화학비료·항생제·항균제 등) 및 액상과당 사용을 줄이거나 없애고 육고기보다 식물·곤충이 바탕이 되고 지역 생활권(로컬)에서 생산·유통되는(이동 감소로 탄소 절감과 신선 섭취 및 건강에 기여 전제) 식품으로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경영에 기여하는 식품’ 으로 정립하였다. 새롭게 정립된 친환경식품을 기반으로 소비자들의 의사결정과정을 깊이 있게 연구하고 정서적 효용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적 ESG 전략을 세울 수 있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 본다.
영문 초록
With climate change-related crises, people started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global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instead of global competition.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climate change-induced food system issues are threatening human survival, a need to have a new approach as to what environmentally sustainable food (ESF) is arises. Unfortunately promoting green food in the traditional paradigm without its proper concept, has often led to a form of green washing. Therefore, with the content analysis, this paper was to re-conceptualizes it in the ESG context. The newly defined concept is ‘sustainable food in the food systems integrating production, farming, processing and global supply chains, which restricts or does not use pesticides, chemical fertilizers, antibiotics and antimicrobial; is not processed using irradiation, industrial solvents, or synthetic food additives; and does not use or reduces using high fructose corn syrup. In addition, ESF is mainly based on locally grown seasonal fruits, vegetables and insects rather than meat and contributing to socially responsible and ethical management ’ This paper suggests that effective ESG strategies should be further established to enhance consumers’ affective utility associated with the newly defined ESF.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명절 식품선물
- 편의점 베이커리제품에 대한 소비가치가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 한식 배달 음식 온라인 고객 리뷰(OCR)의 지각된 리뷰 유용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외식조리 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동영상 비교과프로그램 활동인식이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배달과 테이크아웃 이용고객의 환경인식, 친환경노력 및 친환경부담금 지불의사에 대한 연구
-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맥락에서 친환경식품 개념 정립
- 외식산업 이직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조리과 교수의 생애사에 따른 국내 서양조리교육 발전과정
- HMR 제품에 대한 외식 기업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푸드테라피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 우울증, 삶의 만족도 차이분석
- 외식기업의 서비스품질과 기업평판에 대한 구조적 분석
- 외식조리전공 대학의 창업교육 창의적 역량이 학습몰입과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호텔 총주방장의 조직미덕에 의한 직무열의와의 관계에서 정서적몰입의 매개역할
- 외식경영연구 26권 4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