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HP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회복탄력성 요인 개발
이용수 194
- 영문명
- Development of resilience factors for victims of school violence through DHP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강문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1호, 127~1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의 근력을 키우는 회복탄력성 요인 개발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가 심리적 상황을 잘 극복하고 긍정적 자아와 자존감 향상은 물론 문제해결 능력과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심리적, 정서적 안정과 마음 치유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있다. 총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도출한 회복탄력성 영역과 영역별 하위 요인 그리고 영역별 중요도 및 우선순위와 영역별 하위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 하위 요인의 통합 중요도 및 종합순위를 통해 학교폭력으로 인한 심리적 상실감을 극복하는데 활용한다면 긍정성, 자기효능감, 유연성, 대인관계에 있어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회복탄력성 영역별 요인을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교육, 심리척도 검사지 개발, 학교폭력으로부터의 정신적 회복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들이 마음의 근력을 키울 수 있도록 회복탄력성 요인들을 적극 활용 및 반영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silience factors that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mind so that victims of school violence can overcome psychological situations well, improve positive self and self-esteem, as well as maintain problem-solving skills and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ing.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and reflect resilience factors so that school violence victims can develop mental strength through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using factors by area of resilienc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scale test sheets, and development of mental recovery programs from school viole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종 대응의 효과성 확보를 위한 기관협력 방안
- DHP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회복탄력성 요인 개발
- 스토킹 범죄 유형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Police Officers in South Korea: The Applicability of Turnover Process Model
- 성인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 사기범죄 피해자 특성 및 영향요인 연구
- 가로등 조명과 범죄피해 두려움의 관계
- 군복무 여군의 인권실태에 대한 질적 분석
- 작품 속 역할의 간접 외상 경험이 배우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