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토킹 범죄 유형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이용수 21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Victims of Fraud Crime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심혜인 김소현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1호, 107~1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1년 10월 21일 스토킹 처벌법 시행 이후에 스토킹 범죄에 대한 신고 및 처벌 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스토킹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토킹범죄 유형의 특징을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2021년 10월 31일 스토킹처벌법 시행 이후를 기준으로 하여 스토킹 사건 판례를 중심으로 스토킹 유형과 관련한 자료를 조사하여 위 선행연구와의 차이가 있는지를 함께 검토하고자 하였다. 강소영(2022)의 스토킹 범죄 행위자의 범죄 동기 유형에 따라 ‘관계요구형’, ‘문제해결형’, ‘분노형’으로 분류하여 각 스토킹 범죄 유형에 따라 스토킹 행위 및 대상자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기초로 하여 스토킹 유형에 따른 대응 및 예방책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on October 21, 2021, reports and penalties for stalking crimes have been strengthen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alking crime types through empirical stud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talking at home and abroad.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lking Punishment Act on October 31, 2021, data related to stalking type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stalking case precedents,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study. According to Kang So-young (2022)'s crime motivation type, it is classified into “relational demand type”, “problem-solving type”, and “anger type”, and based on this,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alking behavior and subjec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종 대응의 효과성 확보를 위한 기관협력 방안
- DHP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회복탄력성 요인 개발
- 스토킹 범죄 유형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Police Officers in South Korea: The Applicability of Turnover Process Model
- 성인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 사기범죄 피해자 특성 및 영향요인 연구
- 가로등 조명과 범죄피해 두려움의 관계
- 군복무 여군의 인권실태에 대한 질적 분석
- 작품 속 역할의 간접 외상 경험이 배우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