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품 속 역할의 간접 외상 경험이 배우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64
- 영문명
- The Effect of Indirect Trauma Experience of Role in the Work on the Actor's Mental Health: Focus on Focus Group Interview (FGI)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권지혜 조영일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1호, 7~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할에 따른 간접외상의 경험이 배우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한 질적 연구이다. 배우의 역할창조의 개인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간접 외상의 양상 파악을 위해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연급 배우 5명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배우가 범죄사건의 피해자, 살인범과 같은 고도의 정서적 몰입과 극한의 신체적 표현이 필요시되는 역할을 연기할 경우, 일반적인 역할을 연기했을 경우보다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역할에 따른 트라우마의 재경험이나 트라우마의 전이 양상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은 연기 과정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안 및 강박을 유발하는 연기자 스트레스도 배우의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의 트라우마와 배우 내면의 정서와의 관계에서는 배우 개인의 역할의 트라우마가 일치하거나 유사성이 있을 경우 상당히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analyze the effect of indirect trauma experiences according to roles on the mental health of actor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indirect trauma that occur in the personalization process of the actor's creation of a role, w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leading actor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an actor plays a role that requires high emotional commitment and extreme physical expression, such as a victim of a crime or a murderer, it is more likely to experience post-traumatic stress than when plays a general role. Psychological pain due to the re-experience of trauma or transfered trauma according to the role affects the entire acting process, and the actor's stress that causes anxiety and obsession also affect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ctor. In addi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uma of the role and the pshycological state of the actor, it was found that when the trauma of the actor's role coincides or has a similarity, it has a very serious effec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설계
4. 연구대상 및 방법
5. 결과분석
6.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종 대응의 효과성 확보를 위한 기관협력 방안
- DHP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회복탄력성 요인 개발
- 스토킹 범죄 유형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Police Officers in South Korea: The Applicability of Turnover Process Model
- 성인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 사기범죄 피해자 특성 및 영향요인 연구
- 가로등 조명과 범죄피해 두려움의 관계
- 군복무 여군의 인권실태에 대한 질적 분석
- 작품 속 역할의 간접 외상 경험이 배우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