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0
- 영문명
- A Study on Adult‘s fear of Cyber Sex Crim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Punishment Criminal Psychology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박한호 김동현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1호, 71~8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현실주의를 지향하는 메타버스와 같은 사이버 세계가 눈앞에 다가온 만큼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는 반대로 현실과 같은 범죄가 사이버상에도 실재하는 것처럼 이루어질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온라인의 특성이 반영되어 현실세계의 범죄를 초월한 사이버 범죄가 발생될 수 있다는 것 또한 의미한다. 범죄두려움은 유형에 따라 범죄두려움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현실범죄는 처벌을 통해 범죄의 행위를 정지시킬 수 있지만 사이버 범죄는 수법과 그 특성에 따라 처벌이 어려운 범죄이다. 따라서 개인이 갖고 있는 처벌에 대한 인식이 직접적으로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이버 성범죄와 같은 범죄의 해결은 형사사법기관에서 시작되는 것보다 피해자나 목격자의 신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신고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피해자나 목격자의 행위는 이성적이며 합리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심리적인 기재가 작용한다는 점을 가정한다면 사이버상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 성범죄에 대하여 형사사법당국의 처벌의 3요소인 신속성, 엄격성, 확실성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론적 배경을 중심으로 이 세 가지의 인식수준의 틀을 통해 사이버 성범죄에 대한 두려움 고찰하여 지각된 범죄에 대한 심리적 두려움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 방법, 주요 분석 결과는 처벌에 대한 인식 중 처벌의 엄격성만이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성범죄에 대한 양형판단을 강화하여 엄중한 처벌을 통해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을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cyber world, such as the surrealism-oriented metaverse, is approaching, you will have a new experience that is different from before. On the contrary, this means that crimes like real life will be done as if they are real in cyberspace. Furthermore, it also means that cyber crimes that transcend crimes in the real world can occur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he degree of fear of crime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ear of crime. Real crimes can be stopped through punishment, but cyber crimes are difficult to punish depending on their methods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erception of punishment that individuals have can directly affect their fear of crime. The resolution of crimes such as cybersex crimes is not initiated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but rather by reports from victims or witnesses, and these reports are determined by various factors. Assuming that the actions of victims or witnesses are not rational, and that psychological mechanisms work,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ception of celerity, severity, and certainty, which are the 3 key elements of criminal justice authorities' punishment for cyber sex crimes, and considers the fear of cyber sex crimes through the frame of these three levels of awarenes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Psychological fear of perceived crime was measur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methods, and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severity of punishment among the perceptions of punishment predicted cyber sex crime fear.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lower the fear of cyber sex crimes through strict punishment by strengthening the sentencing judgment for cyber sex crim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종 대응의 효과성 확보를 위한 기관협력 방안
- DHP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회복탄력성 요인 개발
- 스토킹 범죄 유형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s among Police Officers in South Korea: The Applicability of Turnover Process Model
- 성인 사이버 성범죄 두려움에 관한 연구
- 사기범죄 피해자 특성 및 영향요인 연구
- 가로등 조명과 범죄피해 두려움의 관계
- 군복무 여군의 인권실태에 대한 질적 분석
- 작품 속 역할의 간접 외상 경험이 배우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