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일동포 총련 조선학교의 교과 내용 변천
이용수 2
- 영문명
- Curricular Changes of Chongryon Korean Schools in Japan: focused on Korean textbook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송재목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1호, 145~17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analyze curricular changes of Chongryon Korean schools in Japan. Chongryon Korean schools belong to the category of miscellaneous schools in the classifi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Japan. They neither need to follow curricular set by the Japanese government nor receive subsidies from it. They have their own curricula and textbooks. Historically, there have been 6 curricular reforms in Chongryon Korean schools. After characterizing those reforms, this paper compares the ‘Korean’ textbooks of the 1993 and 2003 reforms. In general, the political color of advocating socialism and the Juche idea and anti-American and anti-Seoul propoganda gets thinner in new textbooks. The 2003 Korean textbooks emphasize speaking practice and adapt dialogues rich with story-telling. This paper also examines linguistic norms followed in the Korean textbooks.
목차
1. 머리말
2. 선행연구
3. 재일동포사회와 민족학교
3. 조선학교의 교과 내용 변천
4. 조선학교 교과서의 어문규범
5. 1993년도와 2003년도 초급학교 국어교과서
6. 조선학교 교과서 개편의 방향성과 교육의 의의
7.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텔레비전 드라마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 한국어 읽기를 위한 어휘의 문화 배경지식 활용
- 일본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재일동포 총련 조선학교의 교과 내용 변천
-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연결어미 정확도 변이 양상 연구
-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자의 문화의식 성찰의 필요성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크메르어의 대조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