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ow to Use TV Dramas in the Korean Classroom for Begin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용해 최정윤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1호, 27~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V dramas actually used in the Korean classroom for beginners and to explor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that can properly make use of such materials for novice learners. To this end, this study has chosen a research method which is based o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utilizing TV dramas as a teaching tool. At the theoretical level, previous studies, which are related to the use of TV dramas and other audio-visual materials in teaching Korean and other languages at home and abroad, have been demonstrated. At the practical level,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carried out on beginners so as to discuss the actual benefits and setbacks of TV dramas used in the Korean classroom. In conclusion, the study proposes several ways to properly use TV drama materials for novice learners.
목차
1. 연구의 목적, 방법, 선행연구소개
2. 시청각자료의 특징
3.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활용
4. 실제 교실에서 관찰된 드라마 자료의 효과
5.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텔레비전 드라마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 한국어 읽기를 위한 어휘의 문화 배경지식 활용
- 일본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재일동포 총련 조선학교의 교과 내용 변천
-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연결어미 정확도 변이 양상 연구
-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자의 문화의식 성찰의 필요성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크메르어의 대조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