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자의 문화의식 성찰의 필요성
이용수 8
- 영문명
- The Necessity of Introspecting Teachers' Cultural Aware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Korean cultural items from the novel “It is a happy end however.” from Wanseo Park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1호, 75~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teachers' cultural awareness of their own culture because they can have the preconception that they are well acquainted with every aspect of Korean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novel whose title is “It is a happy end however.” from Wanseo Park is selected as a material and an ethnographic method of introspection was used. Novels can be very good ethnographic texts since they describe and show men's lives and culture with effect. Firstly, my cultural awareness as a teacher and researcher with the text was described. Secondly, other teachers' cultural awareness was also describ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se processes are for judging the scope of the na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cultural thoughts. The analysis of my and other teachers' introspection proved that even the teachers who are Korean natives sometimes have no knowledge about the cultural objects or have disagreeing opinions about some aspects of Korean culture. They presented different judgements especially about the cultural items related to attitudes or values. Therefore,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asked to introspect their awareness of Korean culture to be more open-minded educational guides.
목차
1. 서론
2. 문화기술지로서의 문학
3. ‘그래도 해피엔드’를 통한 문화의식 성찰의 실제
4. 연구 결과 및 논의점
5.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급 한국어 교실에서의 텔레비전 드라마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통합적 위계화 방안
- 한국어 읽기를 위한 어휘의 문화 배경지식 활용
- 일본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 분석
- 한국어 교육자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재일동포 총련 조선학교의 교과 내용 변천
-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별 연결어미 정확도 변이 양상 연구
- 학위논문 작성 교과목의 교수요목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교육자의 문화의식 성찰의 필요성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과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크메르어의 대조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