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전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육에 관한 기록의 발굴
이용수 11
- 영문명
- Historical Documen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ristian Missionaries in the Colonial Period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오대환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3호, 177~1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marks the initial step toward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ristian missionaries in the colonial period. There have been some discussion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ristian missionaries in the field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Yet these do not go beyond mere conjecture, and there have not been any study which is supported by historical evidence. By using a meeting record, Annual Meeting of the Federal Council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and a journal, The Korea Mission Field, both published by the Federal Council Protestant Evangelical Missions, this research managed to show that there in fact was a Korean “Language School” at least between 1920 and 1936. With the same materials, there search also made clear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Language School” and its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under went changes five times, as well as the text books used and their transform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is time is considered to have been terminated after 1942, when the Pacific War occurred and missionaries were chased away from Korean Peninsula.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after the liber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resumed for the missionaries returned to, and newly coming to, Korean Peninsula. It is also probable that this may have some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Yonsei University Korean Language Institute, where the so-called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rted.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be done on this historical continuity.
목차
1. 들어가기
2. ‘Language School’을 통한 조선어교육의 목적
3. 교육과정의 변천
4.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발화에서의 무례(無禮) 연구
- 해방 전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육에 관한 기록의 발굴
- 언어유형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학습자의 주제중심어적 특성 발달
- 의사소통의 민족지학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대한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을걸’ 억양의 변별 교육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능력에 대한 분석적 평가의 일반화가능도 검증
- 한국어교육학 학술지의 현황과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양상 연구(Ⅲ)
- 한국어 문장의 주제와 초점 구조 습득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현장 지시어 기능 습득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