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대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of Korean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3호, 77~9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speaking education in Korean is to help the learners develop abilities to communicate with native Korean speakers freely. In real life, however, it is not easy for Korean learners even in the intermediate level to take a leading role in conversations with native Korean speakers. Thus Korean learners need to study how to construct creative stories outside their limited conversation study patterns to take an initiative in speech and lead the conversation. In that aspect, more emphasis should be put on speak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by using storytelling. Research on storytelling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which means the number of researches is limited compared to other language research areas including English education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learners themselves to search researches that provide the analysis results of storytelling assignments. Thus there should be enough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torytelling created by Korean learners in depth to design educational plans with storytelling. Taking that perspective,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storytelling data created by Korean learner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structure in their storytelling, problems with their story construction, and any differences in their story construction abilities in a storytelling assignm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stages. The results will help to design educational plans for storytelling and to devise a set of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for story creation tasks in semi-direct speaking evaluation.
목차
1. 들어가기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3. 자료 분석 결과
4. 나가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발화에서의 무례(無禮) 연구
- 해방 전 기독교 선교사를 위한 조선어교육에 관한 기록의 발굴
- 언어유형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학습자의 주제중심어적 특성 발달
- 의사소통의 민족지학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대한 연구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을걸’ 억양의 변별 교육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동기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능력에 대한 분석적 평가의 일반화가능도 검증
- 한국어교육학 학술지의 현황과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 습득 양상 연구(Ⅲ)
- 한국어 문장의 주제와 초점 구조 습득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현장 지시어 기능 습득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