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예비・경력・현지 교원을 위한 국외 파견 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of preservice career local milieu: focusing on 2017 Kazakhstan project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동은 이수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2호, 101~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language teachers focus on preservice teacher. This thesis based on the 2017 Korean Language (prospective) Teacher Overseas Dispatch and Practical Training Assistance Project (Almaty, Kazakhstan region). The present task established prospective teachers, career teachers, and local teachers as the targets of each assignment. We focused on developing a program that could match each of these characteristics.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conduc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real expertise through practical training,” whereas for career teachers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leadership” and “retraining teachers” by focusing on their abilities as middle managers to build and maintain foreign and domestic networks. For local teachers, the goal was to provide “retraining as Korean language teacher certification”. The limitations of those unable to attend domestic meetings were alleviated through training, workshops, and meetings, and a program was developed for real education practical training.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career teachers in particular,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enter on a system of collaboration in which classes based on international Project Based Learning(iPBL) were conducted, and groups prepared practical training and practice modules.
목차
1. 서론
2.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
3.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