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위논문 주제어 중심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Research Trend Analysis Focused on Thesis Key Word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실 강승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2호, 25~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o this end, key words were extracted from 29,470 academic thes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7.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 is greater quantity in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than about literature, and starting from 2010, there was an increase in studies similar to those from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Next, in comparison to the other fields,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greater variance in its research theme-in particular, numerous studies related to the site of education. Finally,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the following trends: a) there are copious studies focused o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omparison to other fields, b) there are a greater number of studies focused on culture, and c) the key words change by time period which suggest that research demands transformed over time. Overall, a total of 64 highest frequency key words from the three academic fields were investigated. Of these, 22 were common key words and 42 were differential key words. 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illuminate the identity of each field.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3. 학위논문 주제어 중심 연구동향 분석
4. 마무리
참고문헌
참고 누리집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