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학당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이용수 35
- 영문명
- Research of Developing Textbooks for Business Korean in King Sejong Institut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진 강승혜 홍윤혜 한상미 박수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9권 3호, 83~11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resents principles and models for developing textbooks for business Korean to be used at the King Sejong Institutes overseas targeting Korean learners with vocational purposes. The principles of the business textbooks are based on research by Hyunjin Kim et al. (2018) which contains needs analysis and results from analyzing textbooks. The principles were also extracted from investigating previous researches relating to business Korean an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with vocational purposes. The principles can be summarized to 1) connectivity with general purpose Korean textbooks of “Sejong Korean”, 2) centrality with the users, and 3)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for vocations. Additionally, textbooks based on these principles were tested in August and September of 2018 in China and Korea; usefulness of the textbooks were then examined by experts in Korean education. After the process, “Sejong Business Korean 1, 2” each with 18 chapters were written. (Ewha Womans University⋅Yonsei University⋅Hongik University⋅Yonsei University⋅University of Seoul)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3. 세종학당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구성 원리
4. 「세종 비즈니스 한국어(가제)」의 적합성 검토
5. 세종학당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실제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급 외국인 학습자와 계승어 학습자의 상호작용 비교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서 ‘담화 능력’ 등급 기술을 위한 기초 연구
- KSL 학습자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교과 언어 교육 내용 연구
- 자유 대화에서의 한국어 원어민 화자와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의 발화 속도 비교
- 프랑스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듣기 전략 사용 양상 연구
- 한국어 용언 어절 재인에 미치는 어휘 변인의 영향
- 대학보고서에 대한 외국인 학부 유학생과 교수자의 평가 양상 연구
- 재한중국인 가정 아동의 한국어 습득에 관한 연구
- PWIM 활용 한국어 초급 어휘교육
- 세종학당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 세종학당 성취도 평가 응시 현황 및 결과 분석 연구
- 학문 목적 교양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 분석 연구
- 국외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