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빈값 추정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이용수 40
- 영문명
- Decision Tree for Mode Estimation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강동길 YU WENXING 조형준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5 No.3, 903~91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의사결정나무는 분류 규칙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데이터 마이닝 방법론 중 하나이다. 나무 구조를 통해 분석 결과를 이해할 수 있어 예측력뿐만 아니라 높은 해석력을 동시에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응변수와 설명변수 간 비선형 상관관계에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예측 목적이 반응변수의 최빈값인 경우, 기존에 제안된 의사결정나무를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커널 밀도 추정 방법을 의사결정나무 모형에 접목하여 새로운 형태의 최빈값 의사결정나무(modal decision tree) 모형을 정의한다. 모의실험은 4가지 모형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명변수와 반응변수가 선형 및 비선형 상관관계일 때, 데이터의 크기별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데이터가 선형 상관관계인 경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최빈값 의사결정나무 모형과 기존에 제안된 최빈값 선형 회귀(modal linear regression: MODLR)모형과 성능이 비슷하게 보이는 반면 데이터가 비선형 상관관계인 경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최빈값 의사결정나무 모형 성능이 더 우수함을 보인다.
영문 초록
Decision trees are one of the data mining techniques that make predictions by recursively partitioning data structures based on split rules. Since the analysis result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tree structure,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high interpretation power as well as predictive power. In addition, it is used in many fields because it is able to identify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response and predictor variables. However, if the purpose of it is to predict the mode of the response variable,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previously proposed decision tree cannot be applied. Thus, we develop a new form of the modal decision tree model by integrating the kernel density estimation methods into the decision tree model. The simulation is conducted with four models. The results are compared for each size of the data when the predictor variable and the response variable are linear and nonlinear relationship cases. When the data has a linear relationship, the performance of the modal desicion tre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comparative to that of the previously proposed modal linear regression (MODLR) model. When the data has a nonlinear relationship, the performance of the modal tree model is better.
목차
1. 서론
2. 연구 배경
3. 모의 실험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5 No.3 목차
- 청소년의 코로나19로 인한 주관적 건강상태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 랜덤 포레스트 모델을 이용한 자살 사고 영향요인 분석
- 한국 반도체 소부장기업 CEO특성과 동적역량이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Nonlinear Effect of Population Aging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n Carbon Emission: An Empirical Analysis of 30 Provinces and Regions in China
- 여가 동기와 제약요인이 노인 여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실험적 방법으로 탐색한 마기꾼 효과의 원인
- 웹기반 실험을 통해 살펴본 연령에 따른 긍정정서 편향과 자기연령 효과의 차이
-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위험인식, 수업참여도 및 학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 동남권 비제조 중소기업의 경영주역량, 기술혁신역량, 사업화역량 및 경영성과 간의 구조관계 연구
- 정책모기지 이용자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살펴본 전세 세입자의 자금조달 추이
- 중복분석의 점수조정에 따른 행렬도 비교
- 대구광역시 어린이 및 노인 보행자의 교통사고 영향 요인 분석
- AI 스피커의 시각적 피드백 제시가 청년 및 중·장년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배달 서비스 플랫폼의 가치공동파괴와 회복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방역정책이 글로벌 주식시장에 미치는 경제적인 영향 분석
- 축약된 Relative Nelson-Siegel 모형과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원달러 환율의 변화율 예측
- 구조방정식모형에서 경로계수에 대한 검정 방법들의 제2종 오류 평가
- SNS 텍스트 데이터 기반 대전시 환경 관련 토픽 모델링 및 감성 분석
- 자율주행 환경에서 비운전과제 유형과 도로 혼잡도에 따른 청년 및 고령운전자의 제어권 인수와 운전수행 차이
- 최빈값 추정을 위한 의사결정나무
- 초발 뇌졸중환자의 기능회복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온라인 텍스트 기반 COVID-19 관련 감정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