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무덤 연구의 다각화를 위한 노력

이용수 267

영문명
Towards a Diversification of Research on Burials: Application of Network Visualization and the Concept of ‘Assemblag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고일홍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0호, 5~3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고학에서 무덤 연구는 무덤의 형식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분류를 진행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은 ‘자료의 정리’는 분석에 앞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기는 하지만,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고고학 자료의 정리 방법인 ‘유사성이나 차이점에 입각한 그룹의 설정’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기존의 방식에서는 대세의 흐름에서 벗어나는 ‘아웃라이어(outlier, 이상치)’ 무덤들을 감당하기가 어렵고, 또한 유사성에 입각하여 동일한 그룹으로 묶인 무덤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점이나, 반대로 차이점에 의해 서로 다른 그룹으로 나누어진 무덤들이 공유하는 유사성을 나타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해주는 대안적 자료 정리의 방법으로 ‘네트워크 시각화’를 제시하였다. 우선 ‘네트워크 시각화’가 어떻게 대안적인 범주화의 방법이 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기 위해 ‘범주화’와 ‘분류’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였고, 그러한 새로운 범주화 방식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완주 상운리 유적의 무덤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시각화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필자는 네트워크 시각화의 도입이 최근 서양 고고학계에서 진행된 본질주의적 범주화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부터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즉, 필자는 들뢰즈(Deleuze)와 가타리(Guattari)의 ‘배치’ 개념을 적용하여 양식⋅형식⋅유형이 과거 사람들의 지속적인 실천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며, 고정되어 있지 않다는 관점이 등장하게 되었음을 소개하고, 그것이 반영된 고고학적 양식⋅형식⋅유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낙랑 고분의 사례에 ‘배치’ 개념을 적용하여 낙랑 고분의 ‘세부 형식’들을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형식’의 ‘만들어짐의 과정’에서 등장하는 ‘사건’들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제시한 네트워크 시각화와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통계분석 결과의 시각화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결국, 본고에서는 네트워크 시각화와 배치 개념의 고고학적 유용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사성과 차이점을 함께 고려하는 범주화의 가능성이나 양식⋅형식⋅유형의 유동성에 대한 고고학자들의 고민을 심화시키고자 했다.

영문 초록

Research on burials in archaeology has mainly involved the identification of tomb type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material. Although such an arrangement of the data is necessary prior to analysis, the method of ‘grouping based on similarities or differences’, which has been commonly used to organize archaeological data, is not without its problems. This is because the existing method of classification cannot handle ‘outlier’ tombs that deviate from the general trend; it is also difficult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that exist between tombs grouped together based on similarity, or, conversely,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ombs divided into different groups. In this paper, ‘network visualization’ was presented a san alternative method of organizing data to compensate for such problems. First of all, a theoretical review of ‘categorization’ and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suggest how ‘network visualization’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method of categorization. This possibility was demonstrated using the case study of the burials of the Sangwoon-ri site, in Wanju. In addition,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Assemblage was introduced, as a means of supporting a break away from essentialism in categorization. As a result, a new perspective on archaeological style, form, and type was proposed and it was argued, using the example of the Nangnang (Lelang) tombs, that the ‘sub-types’ of the tombs could be viewed as ‘events’ that appear in the ‘creation process of types’, rather than as fixed entities. Finally, visualization methods of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were also examined to confirm whether the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possibilities of network visualization presented in this paper are unique to it. By presenting the archaeological usefulness of the concept of network visualization and Assemblage, the paper aims to stimulate further critical thought o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methods of categorization that can consid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ogether, or indeed the fluidity of styles, forms, and types.

목차

Ⅰ. 머리말
Ⅱ. 네트워크, 또 하나의 범주화 방법
Ⅲ. 무덤 형식과 ‘배치’ 개념
Ⅳ. 무덤 연구의 다각화를 위한
Ⅴ. 네트워크 시각화만이 답인가?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일홍. (2023).무덤 연구의 다각화를 위한 노력. 한국상고사학보, (), 5-30

MLA

고일홍. "무덤 연구의 다각화를 위한 노력." 한국상고사학보, (2023): 5-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