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

이용수 213

영문명
Archaeological Implications of Koguryo’s Stone Chambered Tombs Excavated from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강현숙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20호, 65~8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구려가 한반도 중부지역을 영역화하였음을 실증하는 고고자료의 하나인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확인된 고구려 석실분은 당대 고구려 주민이 남긴 것으로, 특정 시간대의 무덤이라는 점에서북한이나 중국 동북지역 고구려 고분과는 다른 해석의 여지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한반도 중부지역이 새로 편입된 고구려 남방이므로 남방의 고구려 주민 구성은 다양했을 것이라는 전제에서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확인된 고구려 석실분의 유형을 설정하고 석실분 유형이 시사하는 고고학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석실봉토분의 분석 결과, 석실의 평면구조는 장방형 현실, 세장방형 현실, 방형 현실로, 축조방식은 고구려식, 재지화된 고구려식, 비고구려식 등으로 나뉘며, 이의 조합에 따라서 설정된 석실분유형은 지역색을 띠기도 하고, 동일 지역 내에서 축조에 따른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특히 가장많고 넓은 범위에서 확인되는 장방형 현실과 오른쪽으로 치우친 연도 무덤을 통해서 한반도 중부지역 주민 간에 고구려민으로서 동류의식이 형성되었음을 설명하고, 축조방식에 따른 차이를 고구려 주민 구성의 다양성으로 해석하였다. 그리고 고구려의 남하에 따른 주민의 확산을 영역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첫단계는 고구려 주민이 남하하기 시작한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경으로, 당시 고구려 주민의 중심지는 북한강 유역의춘천 일원이었다. 둘째 단계는 한성 공략에 따른 5세기 말로, 한강 이북에 있던 고구려 주민의 후손이나 고구려 주민으로 편입된 재지 주민들로, 이들은 한강을 따라 각지로 확산되었다. 그리고석실분의 분포로 남방의 주요 거점지는 춘천과 용인, 충주 일원으로 비정하고, 고구려는 이곳을중심으로 남방을 지배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Koguryo tomb is the empirical data that Koguryo occupied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The tomb of Koguryo's stone chamber excavated from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was left by Koguryo residents of the time. In that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is the newly incorporated Koguryo territory, it was expected that stone chambered tombs hereand were possible other interpretation from Koguryo tombs in North Korea or northeastern China. So, this article tried to set the type of Koguryo stone chambered tombs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and find the archaeological implications inherent in the stone chambered tomb’s type. The types of Koguryo stone chambered tombs are divided based on the chamber planar plan and constructin skill. Since the rectangle tomb’s chamber was wide distribution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it can be seen that information about the tomb’s chamber planr planar is shared among the inhabitants of the newly incorporated Koguryo realm. And the construction skill was divided into Koguryo style, localized Koguryo style, and non-Koguryo style, so it can be interpreted the difference of the groups that built tomb’s chambers. Therefore the diversity of tomb’s types suggests that the inhabitants of newly occupied Koguryo was diverse. From these, it can be seen that the spread of residents of Koguryo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took place in two steps proceeding. The first spread of southward took place between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and the center of inhabitants was the Chuncheon area of the Bukhan River basin. The second was took place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following the invasion of Hanseong, and the descendants of the first Koguryo residents north of the Han River or the native incoporated Koguryo residents, spread along the Han River to various places. Therefore, judging from the aspects of Koguryo tomb’s types, the main bases of Koguryo's southern control can be said to be Chuncheon, Yongin in the southern inland of Gyeonggi-do, and Chungju in the Namhan River basin.

목차

I. 머리말
II. 중부지역 석실분 유형
III. 중부지역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
I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현숙. (2023).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 65-88

MLA

강현숙. "한반도 중부지역 고구려 석실분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2023): 6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