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한·중 비교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Chinese Research Trend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Academic Pap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from 2012 to 2022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유소소 전패영 한군 허방신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34권 2호, 179~225쪽, 전체 4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8,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 compare and analyze the trend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targeting Chinese learners conducted in both Korea and China over the past decade by proposing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levant research, this paper examined 186 pronunciation education-related studies in Korea and 90 in China between 2012 and 2022. Moreover, it analyzed the evolution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by categorizing it according to year, type, learner variable, research methodology, theme, and pronunciation elements by scrutinizing the changes and their underlying rationale. On this basis, the future directions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both Korean and Chinese academia must maintain a persistent interest in pronunciation education. Secondly, China must consistently produce research outcom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irdly, both Korean and Chinese future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should explore various learner factors by focusing on the pronunciation acquisition and education circumstances of specific learner groups. Fourthly, it is crucial for Chinese researchers to prioritize the use of objectives and multifaceted research methods based on experiments and statistics. Fifthly, both Korean and Chinese research should focus on learner assessment, teacher training, the development of ICT-based pronunciation education content utilizing multimedia, and the design of integrated functional education approaches. Lastly, both Korean and Chinese studies on suprasegmentals, phonological rules, and authentic pronunci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longside those on segmentals.

목차

1. 서론
2. 연구 절차 및 분류 기준
3. 한·중 연구 동향에 대한 비교 분석
4. 발음 교육에 대한 한·중 향후의 연구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소소,전패영,한군,허방신. (2023).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한·중 비교 분석. 한국어교육, 34 (2), 179-225

MLA

유소소,전패영,한군,허방신.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한·중 비교 분석." 한국어교육, 34.2(2023): 179-2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