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 규준과 지표 개발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Developing Standards and Indicators of Information Literacy for Mathematic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현(Kim, Eun Hyun) 김래영(Kim, Rae You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2호, 419~44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보 리터러시는 미래 사회의 시민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기본적인 자질이자 독립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자를 양성하기 위한필수적인 역량이다. 본 연구는 Kim & Kim (2022a, 2022b)의 후속 연구로서 수학 교과에서 정보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한구인을 탐색하고 규준과 지표를 개발하였다. 세 차례의 수정 델파이 설문 조사와 온라인 FGI를 통해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리터러시의 규준과 지표를 안정화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의 규준 1부터규준 4는 개인의 인지적 영역의 사고 역량과 도구 활용 역량으로, 그리고 규준 5는 사회적 영역의 사회 소통 역량과 사회의식 및실천 역량으로 설정하고 총 16개의 지표를 제시하였으며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의 역량과 규준의 관계를 명시하였다. 이로써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데 필요한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러터러시의 주요 역량을 강조하고 학교 수학에서 이를 함양하기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Information literacy is a fundamental and essential competency to live as a citizen, who is an in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er, in the future society. This study, as a follow-up to Kim and Kim’s research (2022a, 2022b), explores the components of information literacy for mathematics, and develops standards and indicators of literacy. Through three rounds of modified Delphi surveys and FGI, the standards and indicators of information literacy for mathematics were stabilized, and the application to practices in schools was explored. As a result, Standards 1 through 4 of information literacy for mathematics consisted of ‘cognitive thinking skills’ and ‘using physical and symbol tools’ in the personal cognitive domain, and Standard 5 was set as ‘social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 and practice competency’ in the social domain. Sixteen indicators were presented under the corresponding standar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ies and standards of information literacy in mathematics was specified. This study emphasizes the key competencies of information literacy in mathematics education that are necessary for preparing individuals for future society and provides the foundation to cultivate it in school mathema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수정 델파이 설문 조사와 FGI를 통한 규준과 지표 개발 타당화 연구
Ⅴ. 수학교과에서의 정보리터러시 규준과 지표
Ⅵ. 논의 및 제언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sis of Changes in Robot Activity Levels in Mathematics Classes Based on Van Hiele Theory
-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기대수 내용의 변화
-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의 통계적 추정 단원 재구조화 방안 탐색
-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 따른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교과서 함수 단원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학습기회 분석
-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 규준과 지표 개발 연구
-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과 교육적 함의
- Professed vis-à-vis Enacted Knowledge: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niversity Mathematics Teachers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경험 탐구
- 곡선 아래 넓이에서 리만합의 극한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