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과 교육적 함의
이용수 191
- 영문명
- Students’ Understanding of Figures with Point Symmetr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은(Lee, Seungeun) 임재훈(Yim, Jaehoon)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2호, 245~26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점대칭도형을 배우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떤 생각을 가져오고 어떤 양상을 보이고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를 5학년한 한급 학생들을 통해 알아보고 그 교육적 함의를 논하였다. 학생들은 도형의 중심을 회전의 중심과 구분하지 못하고, 180° 돌리기를 막연히 반대 방향으로 보내기로 생각하기도 하였다. 도형을 돌린 회전량인 180°를 특정하여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합동과 점대칭도형에서의 겹침을 혼동하였다. 점대칭도형을 그릴 때 대응점과 대칭의 중심 사이의 관계보다 대응변의 길이가같다는 성질을 이용하려는 양상을 보였다. 모눈의 가로 세로 양방향 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모눈이 없는점대칭도형 그리기 과제에 모눈을 그려 넣기도 하였다. 이로부터 점대칭도형의 교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도형의 중심과 회전의 중심을 구별하는 경험, 180° 돌리기와 반대편으로 보내기의 차이점을 인식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원 운동을 부각하여 회전량을 강조하고, 도형 전체의 회전을 도형의 구성 요소의 회전과 연결하여 이해하게 한다. 방사형 동심원격자는 원 운동을 부각하고 점대칭에서 회전의 관점과 맞섬의 관점을 통합적으로 다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점대칭도형의 성질학습 지도에서 개념으로부터 추론과 측정을 적절히 자리매김한다. 모눈에서 가로 세로 양방향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사전경험을 제공한다. 모눈이 있는 상황과 모눈이 없는 상황의 기능을 고려하여 각 상황을 점대칭도형의 교육에 자리매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students’ thoughts and the difficulties faced while learning figures with point symmetr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class of 5th grade students. We identifie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m as: confusing the center of a figure with the center of rotation, confusing rotating a figure 180° with moving a fig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difficulty in specifying and explaining the amount of rotation, tendency to use the property of corresponding sides instead of the property of corresponding points when completing a figure with point symmetry, and difficulty in dealing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grid pap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ollowing experiences should be provided while learning figures with point symmetry: distinguishing the center of a figure from the center of rotatio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rotating by 180° and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specifying and measuring the amount of rotation in circular motion, exploring figures with point symmetry on a polar grid, understanding the rotation of a figure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its components, dealing with information of both directions in grids, and drawing figures with point symmetry on non-grid as well as grid paper.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
Ⅴ. 점대칭도형 교육에의 함의
Ⅵ.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sis of Changes in Robot Activity Levels in Mathematics Classes Based on Van Hiele Theory
-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기대수 내용의 변화
-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의 통계적 추정 단원 재구조화 방안 탐색
-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 따른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교과서 함수 단원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학습기회 분석
-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 규준과 지표 개발 연구
-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과 교육적 함의
- Professed vis-à-vis Enacted Knowledge: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niversity Mathematics Teachers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경험 탐구
- 곡선 아래 넓이에서 리만합의 극한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