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의 통계적 추정 단원 재구조화 방안 탐색
이용수 139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Restructuring the Statistical Estimation Unit in High School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송희(Lee, Song Hee) 이경화(Lee, Kyeong-Hwa) 김하림(Kim, Ha Lim)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2호, 291~31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학에서의 통계적 추정 지도 관행을 개선하고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및 학교현장에서의 교육과정 실행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적 추정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선행연구 결과와 2022 개정 수학과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을 종합하여 통계적 추정 단원의 재구조화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통계적 추정 단원의 구체적인재구조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표본의 뜻, 표본추출 방법과 관련하여 표본추출 과정에서 편향에 주목하게하여 표본대표성 측면에서 개념적 이해를 촉진하고, 공학 도구를 활용하여 표집변이성의 인식을 촉진하는 내용을 구성한다. 둘째, 표집분포와 관련하여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표집분포에 대한 개념적 이해 및 표본의 크기와 표집변이성 사이의 관계에대한 이해를 촉진하는 내용을 구성한다. 셋째, 신뢰구간과 관련하여 확률적 자신감으로서 신뢰수준을 인식하도록 촉진하고, 표본오차를 활용하여 추정 결과의 해석 및 평가 기회를 제공하는 내용을 구성한다. 또한, 각각의 재구조화 방안을 구현할 때참고할 수 있는 국외 수학 교과서의 사례를 탐색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mprove statistical estimation teaching practices in school mathematics, support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schools. Apropos this, the directions of restructuring the statistical estimation unit were deriv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tatistical estimation. Based on these, specific restructuring suggestions for the statistical estimation unit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the sample and sampl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bias in the sampling process to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erms of sample representativeness and to promote the recognition of sampling variability using technologies. Second, in relation to sampling distribu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ntents that promot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ampling distribu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ample size and sampling variability using simulation. Third, in relation to the confidence interval,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ntents that promote the recognition of the confidence levels as probabilistic confidence and provid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pportunities of estimation results using sampling errors. In addition, some examples from foreign mathematics textbooks, that can be referred to when implementing each restructuring suggestion, are explored and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통계적 추정 단원 재구조화의 방향과 방안 탐색
Ⅳ. 결론 및 논의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sis of Changes in Robot Activity Levels in Mathematics Classes Based on Van Hiele Theory
-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기대수 내용의 변화
-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의 통계적 추정 단원 재구조화 방안 탐색
-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 따른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교과서 함수 단원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학습기회 분석
-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 규준과 지표 개발 연구
-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과 교육적 함의
- Professed vis-à-vis Enacted Knowledge: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niversity Mathematics Teachers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경험 탐구
- 곡선 아래 넓이에서 리만합의 극한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