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경험 탐구
이용수 216
- 영문명
- Exploring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Practicum Semester System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소민(Kim, Somin) 권나영(Kwon, Na Young)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2호, 317~33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22년 처음 시범 운영된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중등 예비 수학교사의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대한 경험을살펴보고, 학교현장실습학기제의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교육실습생들은 연구당시 수학교육과 4학년 재학 중인 3명의 여학생들로, 19주 동안 학교현장실습을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2022년도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기간 동안 수집된 교육실습생과 담당지도교수의 멘토링, 중간평가회, 최종 평가회 설문조사, 실습종료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 자료 등이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생들이 학교현장실습을 통해 경험한 내용(교과지도, 학교 교육활동, 학생지도, 평가, 연수 및 업무), 배운 내용(수업 설계 및 실행, 교직 적성, 학생 이해), 실습에 있어 어려웠던 점(대학 수업과 병행, 수업 준비, 수업의 불연속성, 임용 준비) 등으로 크게 세 범주로 나누어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현장실습학기제의확대를 위해 제안할 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the first pilot operation of the school practicum semester system and sought implications for the enlargement of the system. The education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three female students in the 4th year of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time of the research, and conducted a school practicum for 19 weeks. The data used in the study include mentoring data from trainees and advisors, records from the midterm evaluation meeting, satisfaction survey data from the final evaluation meeting, and focus group interview data after practic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xperiences through school practicum (curriculum guidance, school educational activities, student guidance, assessment, training, and work), learning from school practicum (class desig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aptitude, understanding students), and difficulties (simultaneous college classes, preparation for school classes, class discontinuity, and preparation for Teacher Qualification Test). Finally,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enlargement of the system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학교현장실습 관련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ACKNOWLEDGEMENTS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sis of Changes in Robot Activity Levels in Mathematics Classes Based on Van Hiele Theory
-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기대수 내용의 변화
-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의 통계적 추정 단원 재구조화 방안 탐색
-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 따른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교과서 함수 단원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학습기회 분석
-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 규준과 지표 개발 연구
-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과 교육적 함의
- Professed vis-à-vis Enacted Knowledge: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niversity Mathematics Teachers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경험 탐구
- 곡선 아래 넓이에서 리만합의 극한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