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 in the Contents of Early Algebra in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선(Choi, Jisun) 나귀수(Na, Gwisoo)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33권 2호, 447~47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기대수와 관련된 학습내용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의3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부터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분석하여 초기대수와 관련된학습내용들이 어떻게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EEEI (동치 관계ㆍ식ㆍ방정식ㆍ부등식)의 측면에서, 3차~6차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 이후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각각의 학습요소를 다루는 학년이 크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GA (일반화된 산술)의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교육과정에서 산술적 관계를 계산에 필요한 정도로만 다루었음을 확인하였다. FT (함수적 사고)의 측면에서는, 3차~6차 교육과정에서는 재귀적 패턴을 다루지 않았고 공변적 관계에 대한 학습요소들을 다양하게구현하였지만, 7차 교육과정 이후에는 재귀적 패턴을 다루었고 공변적 관계에 관한 학습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였음을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기대수의 교수-학습과 관련하여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longitudinally analyze the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early algebra in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Curriculum documents and textbooks from the 3rd to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ere analyzed to examine how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early algebra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equivalent relationship, expression, equation, and inequality (EEEI) there was a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3rd to 6th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after the 7th, with the grades that dealt with each learning element changing greatly. In terms of generalized arithmetic (GA), it was revealed that arithmetic relationships were addressed only to the extent necessary for calculations in most curriculum. In terms of functional thinking (FT), from the 3rd to 6th curriculum, recursive patterns were not addressed, but various learning elements for covariational relationships were included. In contrast, after the 7th curriculum, recursive patterns were addressed, and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covariational relationships were presented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tur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early algebr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초기대수 내용의 변화
Ⅴ. 논의 및 결론
CONFLICTS OF INTERES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sis of Changes in Robot Activity Levels in Mathematics Classes Based on Van Hiele Theory
- 한국의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기대수 내용의 변화
-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의 통계적 추정 단원 재구조화 방안 탐색
- 등호의 관계적 이해를 강조한 수업에 따른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 한국과 미국 중학교 수학교과서 함수 단원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학습기회 분석
- 수학 교과를 위한 정보 리터러시 규준과 지표 개발 연구
- 점대칭도형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양상과 교육적 함의
- Professed vis-à-vis Enacted Knowledge: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niversity Mathematics Teachers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서 예비 수학교사의 경험 탐구
- 곡선 아래 넓이에서 리만합의 극한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