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퍼즐 확대 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의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특징 탐색
이용수 59
- 영문명
- Analysis on the Sixth Graders’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of a Puzzle-Enlarging Task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회 장혜원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2권 제1호, 103~12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c를 살아갈 미래 인재를 위한 핵심 역량 중 하나로 협력적 문제해결력이 강조되는 바,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3가지 유형의 4인 모둠에게 퍼즐 확대 과제를 제시하고 그들의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난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몇 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사고 수준의 학생들이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모둠 내 상보적인 역할을 통해 상호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었고,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인지적 기능은 다소 제한적이었으나 사회적 기능을 활용하여 이를 보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협력적 수학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으로 적합한 모둠 구성방식과 교사의 개입 선택의 중요성, 다양한 인지기능의 활용에 대한 지도의 필요성 등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s considered as a key competency for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ims to obtain some did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6th graders’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es. To do this, we provided a puzzle-enlarging task to twelve participants who grouped by four. Analyzing their solving process and dialogue, we can induce some conclusions: the participants who are in the different thinking levels could meaningful progress in their reasoning and their roles are complementary in a group, and the participants used cognitive skills as well as social skills which could supplement cognitive one. Finally, we suggested proper methods of grouping and importance of teachers’ intervention, need for developing some sub-skills, and collaboration-focused classroom culture for teaching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