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공간게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공간감각과 수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5
- 영문명
-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Space Game on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Focused on the Sixth Graders' Building Block Activity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예림 장혜원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2권 제1호, 5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상현실공간게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과 수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수학 교수·학습에서 가상현실공간게임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S초등학교 6학년 7개 학급 중 공간감각과 수학 정의적 영역에서 동질집단 2학급을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가상현실공간게임인 마인크래프트 교육용 에디션을, 비교집단에는 쌓기나무를 활용하여 쌓기나무 단원 수업을 진행하고, 사후 공간감각 검사와 사후 수학 정의적 영역 검사, 사후 소감문 쓰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현실공간게임을 활용한 수학 수업은 학생들의 공간감각 하위 요인 중 정신적 회전(2D), 정신적 변환(2D-2D), 정신적 변환(3D-3D), 거리 감각, 위치 감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수학 정의적 영역 검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못하였으나, 소감문에 나타난 학생들의 평가로부터 가상현실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협력 활동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h lessons based on the Minecraft Education Edition, which is a virtual reality space game, on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of sixth grader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pre-test on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with seven 6th-grade classes at S Elementary School in Eunpyeong-gu, Seoul and selected one class as the experiment group and one of the homogeneous classes as the comparison group. While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six lessons on the unit ‘Building Blocks’ using the Minecraft Educational Edition, the comparison group did the lessons on the same unit with Building-Blocks. After the lessons, the post-tests on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were conducted respectively, and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sample t-test using i-STATistics. Based on these results of analysis, we induced some conclusions and discussed about didactical implication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수업의 실제
V. 연구 결과
VI.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