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에 대한 반성적 고찰
이용수 27
- 영문명
- The Reflective Consideration for the ‘Content System’ of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cused on ‘Key Concept’,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양성현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1권 제2호, 347~3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가 지니고 있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내용 체계 구성에 있어서 각 교과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총론의 일방적 요구로 인하여 교과에서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을 설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교과 입장에서 새로운 내용 체계를 수용하기엔 충분한 논의와 공감대가 부족하였다는 점 등이 여러 교과에서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 중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내용 체계 요소들의 설정 현황과 성취기준의 ‘기능’ 반영 정도를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적용된 것도 3년차에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교육과정 문서의 변화된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문제 인식과 반성적 고찰은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충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merits of the content system of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was a lot of difficulty in setting ‘key concept’,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in each subject by unilateral guidance that did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Also at the standpoint of the subject, the difficulty of lacking enough discussion and consensus to accommodate the new contents system was raised in various subjects. This study focused on ‘key concept’,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in the contents system of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we analyzed the status of each element of the content system and the reflection level of ‘skill’ for achievement standard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now in its third year of being applied to the school site. At this point, the critical problem recognition and reflection consideration on the changed contents system of the curriculum will provide sufficient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next curriculum.
목차
I. 서론
II.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변화
III. 수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 현황과 분석
IV. 수학과 교육과정의 ‘기능’ 설정 현황과 기능 반영 ‘성취기준’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논문 작성 지침
- 수학 학습 흥미 하위요인별 검사 도구 개발과 적용
-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에 대한 반성적 고찰
- 교사의 담론적 역량의 개념화를 위한 사례 연구
- 학교 수학과 대학 수학 사이의 연계성에 대한 중등교사의 전문성 분석
- 학생들의 Zeno의 역설(반분 역설과 아킬레스 역설)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연구
- 덧셈․뺄셈 문장제에 대한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를 사용한 식 표현 분석
-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단원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학교수학 제21권 제2호 목차
-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적정성 분석
- 확률실험 환경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확률 탐구 특성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