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단원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 사례 연구

이용수 63

영문명
An Analysis of Lessons to Develop an Unit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Focused on ‘Patterns and Correspondence’
발행기관
대한수학교육학회
저자명
방정숙 선우진 김은경 김윤영
간행물 정보
『학교수학』제21권 제2호, 269~29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수학교과서는 학생이 수학을 의미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학교과서를 개발할 때 학생의 학습에 대한 현장 연구가 병행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수학교과서 5학년 1학기 현장검토본 중 규칙과 대응 단원을 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1개 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후 해당 학급에서 총 5차시의 수학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수업에서 드러나는 학생들의 실제적인 반응을 규칙과 대응의 핵심 교수․학습 요소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수학교과서 현장검토본의 규칙과 대응 단원은 학생들이 두 양 사이의 관계를 대응적으로 탐구하고 변수에 대한 이해를 신장하는 데 대체로 적합한 편이었으나, 두 양 사이의 대응 관계가 덧셈 관계인 경우를 지도하는 측면에서는 보완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수학교과서에서 규칙과 대응을 지도하는 방안 및 교과서 개발에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Mathematics textbooks play an important role for students to engage in meaningful learning, but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how students learn mathematics with new textbooks under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mathematics lessons about patterns and correspondence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align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the unit of ‘patterns and correspondence’ emphasizes four key instructional elements (i.e., relation to real-life contexts, diversity of pattern tasks, exploration for a correspondence relationship, and teaching variables), we used them as the analytic framework of students’ 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unit of ‘patterns and correspondence’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aligned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d significant impact on how the fourth graders reasoned about the correspondence relationship and use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demonstrated that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exploring an additive relationship than a multiplicative relation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extbook writers with implications on what to further consider in dealing with patterns and correspondenc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결과 분석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시사북스 JLPT 기획전
  • [윙하단] 작가정신 대여전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