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담론적 역량의 개념화를 위한 사례 연구
이용수 30
- 영문명
- Conceptualizing Discursive Teaching Capacity: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중 신재홍 이지은 임웅 이윤희 최상호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1권 제2호, 291~31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수학 교사의 담론적 역량이 무엇인지를 개념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위해 다년간 교수법을 변화시켜 교수법의 효과성을 대내·외적으로 인정받은 경기도 소재 K중학교 교사의 1학년 수업을 한 학기 동안 관찰하여 44차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사는 담론적 역량을 바탕으로 사회(수학)적 규범 형성과 유지를 위해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고, 학생 개인의 배경과 지식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상향식 과정을 통해 수학적 개념을 도입하였다. 또한, 과제에서 Sfard가 제안한 루틴의 When과 How를 구분하였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When의 변경에 따라 How 변화의 이해를 강조하는 담론적 역량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수학 담론 개발을 하는데 개념 틀과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eacher capacity to implement discursive pedagogy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The grounded theory guided our study as we investigated the case of a 7th-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master teacher, who had an award winning track record for her effective methods of increasing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Our data included semester-long observations of the teacher’s 44 instructional events.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eacher exercised her discursive capacity in building a classroom community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d in learning, sustained socio-mathematical norms from day one throughout the semester, and introduced new mathematical concepts in conjunction with student ideas from their academic and personal lives. Also, the teacher attended to the 'when' and 'how' of routines suggested by Sfard. In particular, she emphasized the how aspect of problem solving depending on the when. Our findings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in tandem with concrete and practical ideas towards developing a mathematical discourse practice and supporting teachers for facilitating student participation in classroom discussion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논문 작성 지침
- 수학 학습 흥미 하위요인별 검사 도구 개발과 적용
- 수학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에 대한 반성적 고찰
- 교사의 담론적 역량의 개념화를 위한 사례 연구
- 학교 수학과 대학 수학 사이의 연계성에 대한 중등교사의 전문성 분석
- 학생들의 Zeno의 역설(반분 역설과 아킬레스 역설) 과제 해결 과정에 대한 연구
- 덧셈․뺄셈 문장제에 대한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를 사용한 식 표현 분석
-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단원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 사례 연구
- 학교수학 제21권 제2호 목차
-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교과서의 어휘 적정성 분석
- 확률실험 환경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확률 탐구 특성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