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성기 가야금병창 <어화청춘> 고찰

이용수 24

영문명
A Study on Han Seong-ki's Gayageum Byeongchang "Eohwa Cheongchun"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신은주(Shin Eunjoo) 양주희(Yang Juhee)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7집, 299~33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성기(1889~1950)는 전라남도 영암 출신으로, 20세기 전반 가야금산조와 병창에 능했던 음악인이다. 그의 산조와병창은 김창조에게서 배운 것으로, 한성기를 통하여 김창조의 산조와 병창이 최옥산과 김죽파 등에게 이어졌다. 한성기의 음악은 20세기 전반의 고음반을 통하여 다수가 남아 있는데, 가야금산조와 병창을 주로 남겼고, 가야금병창은 단가를 비롯하여 판소리 다섯 바탕과 잡가, 민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악곡을 연행하였다. 그의 산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병창에 대해서도 몇 편의 연구가 있었으되, 산조와 병창 연구가 함께 고찰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가야금과 소리에 두루 능하였고 그에 따라 발현될 수 있는 한성기만의 독특한 음악을 제대로 조명하지 못한 한계를보인다. 이에, 본고는 가야금 전주와 후주를 포함하고 있는 독특한 구성을 보이는 한성기의 가야병창 <어화청춘>을 대상으로 그의 음악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성기의 단가 <어화청춘>은 세 차례 음반으로 발매되고 경성방송국 기록도 확인되는 바, 한성기의 주요 레퍼토리 가운데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한성기가 부른 <공도백발>, <공도난>, <백발가> 등도 <어화청춘>과 유사한 노랫말을공유하는 관련 악곡일 것으로 추정된다. 한성기가 1932년 녹음한 'Chieron38 어화청춘'과 1935년 녹음한 'CoreaH7 어화청춘'은 거의 동일한 노랫말로구성되어 있되, 'CoreaH7 어화청춘'은 도입부에 '공도라니 백발이요 못 면헐 것은 죽음이라'라는 노랫말이 덧붙어 시작된다. '어화청춘 벗님네야~' 이하의 사설은 두 음반에서 동일하게 진행되는데, 여느 단가에서 사용되는 사설을 적절히포함하여 그 사이에 독자적인 사설을 배치한 구성이다. 이는 당시 단가의 즉흥적이고 자유로운 재구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며, 20세기 전반의 음반 자료 및 오늘날 전승되는 단가 중 한성기의 <어화청춘>과 동일한 구성의 단가가 발견되지 않는 점에서 한성기에 의해 재구성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Chieron38 어화청춘'과 'CoreaH7 어화청춘'은 전주 혹은 후주의 형태로 가야금만 연주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CoreaH7 어화청춘'은 전체 음반에 녹음된 약 3분 30초의 분량 중 시작 부분의 1분여가 가야금 연주로만 되어 있는데, 무장단으로 마치 산조의 다스름과 같다. 이를 김죽파 가야금산조 다스름 중 한성기 가락이라 밝혀진 선율과 비교하여 보면, 양자가 대체로 유사하게 진행하고 있어, 한성기가 병창을 부르기에 앞서 자신의 산조 다스름 선율을 먼저 연주하고 병창으로 이어 부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hieron38 어화청춘'에는 시작 부분의 가야금 선율이 11초 정도로짧고, 대신 후주 형태로 22초 정도의 가야금 선율이 덧붙는데, 'CoreaH7 어화청춘'의 가야금 선율과는 다르고, 음역대가 좁고 반복적인 표현으로 단순한 형태로서 즉흥적인 양상을 띤다. 그러나 화려한 기교가 더하여 짐으로서 한성기의 연주 역량이 여지없이 발휘되고 있다. 두 음반에서 양상은 다르나 <어화청춘> 음반은 가야금산조에 능했던 한성기의 역량이 잘 드러나며, 그가 산조와 병창을 연결하여 자신의 음악에 변화를 주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병창의 소리 선율은 'CoreaH7 어화청춘'과 'Chieron38 어화청춘'에서 거의 동일하게 진행한다. 이에, 'CoreaH7 어화청춘' 만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Sol-do의 4도 골격과 do-re의 2도 진행이 중심이 되며, Sol음에 요성을 사용하고re음은 퇴성하는 점에서 평조의 특징을 보인다. 단락의 종지 부분은 경드름에서 흔히 사용되는 'Sol-do-La-Sol-Sol' 의 종지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악곡의 후반부로 진행하면서 보다 높은 음역으로 올라가 음악에 변화를 꾀한다. 곡의중간에 두 장단 소리를 쉬고 가야금 반주만 연주하는 부분이 등장하고, 간주 부분 이후에는 높은 음역에서 소리하거나 사설을 촘촘하게 엮어 부르는 등 음악적인 변화가 더욱 두드러진다. 병창의 가야금반주는 전반적으로 소리 선율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충분한 기교와 음악적 표현들로 당시의 여느 가야금병창과 비교하여 화려하게 구사된다. 결과적으로, 한성기의 가야금병창 <어화청춘>은 가야금 산조에 매우 능했던 그의 역량이 잘 드러나고 있고, 더불어초창기 병창 연주의 다양성과 즉흥성 및 산조와 병창의 관계를 논하는데 귀한 자료가 된다.

영문 초록

Han Seongki (1889~1950), born from Yeong'am, Jeolla Province, was a musician proficient in gayageum (12-string plucked zither) sanjo (solo instrumental music) and byeongchang (singing with playing an instrument)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e learned sanjo and byeongchang from Kim Changjo and then passed them on to Choi Oksan and Kim Jukpa. His music, mainly gayageum sanjo and byeongchang , remained through the records of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repertoire of gayageum byeongchang includes a variety of music such as dan'ga (lit. short song sung before performing pansori), pansori (musical storytelling), japga (folk songs sung by professionals), and minyo (folk songs sung by the general public). While the studies on his sanjo have been relatively active, there are a few studies on his byeongchang. Yet, since these studies have not considered his sanjo and byeongchang together, there are some limitation that they do not properly illuminate Han Seong-gi's unique musicality from the perspective that he was well versed in gayageum and sori (vocal). This paper focuses on the piece of gayageum byeongchang 'Eohwa Cheongchun' among the music he left behind. Han Seongki's dan'ga 'Eohwa Cheongchun' has been released as a record three times and, according to the records from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it was one of Han Seong-ki's main repertoires. In particular, it is speculated that 'Gongdobaekbal', 'Gongdonan', and 'Baekbalga' sung by Han Seongki are related to 'Eohwa Cheongchun' in that they share the similar lyrics. 'Chieron38 Eohwa Cheongchun' and 'CoreaH7 Eohwa Cheongchun' recorded in 1932 and 1935, respectively, are made up of almost the same lyrics, but the beginning of 'CoreaH7 Eohwa Cheongchun' adds the phrase starting with 'Gongdorani baekbaliyo... '. After that, the lyrics following after 'Eohwa cheongchun...' proceed in the same way on both albums, which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yrics used in any dan'ga are appropriately included and independent lyrics are placed in between. This shows the spontaneous and free reconstruction of dan'ga at the time.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it was reconstructed by Han Seongki in that a unit song with the same composition as Han Seongki's 'Eohwa Cheongchun' has not been found among those materials recorded at that time and dan'ga pieces passed down today. 'CoreaH7 Eohwa Cheongchun' is unique in that the length recorded for the entire album is about 3 minutes and 30 seconds and about 1 minute at the beginning is only a gayageum performance. This gayageum part plays the same role as the daseureum (prelude) of sanjo , comparing to the version of Han Seongki's among the daseureum of Kim Juk-pa’s gayageum sanjo. In 'Chieron38 Eohwa Cheongchun,' the gayageum melody at the beginning is short, about 11 seconds, and instead, the gayageum melody of about 22 seconds is added in the form of a postlude. The aspects in the two records appear different, but the records of 'Eohwa Cheongchun' clearly reveals the ability of Han Seongki, who was good at gayageum sanjo , and it can be seen that he changed his music by linking sanjo and byeongchang. The vocal melody of the byeongchang on both records is almost the same. Considering 'CoreaH7 Eohwa Cheongchun', it is centered on the 4th skeleton of 'sol-do' and the 2nd progression of 'do-re', there is the vibrato on the note of 'sol' and the regression on the note of 're'. The cadence of the paragraph is repeated with the phrase of 'Sol-do-La-Sol-Sol', and moves up to a higher register as it progresses to the second half, changing the music. While the gayageum accompaniment's melody in byeongchang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vocal’s melody, the gayageum performance, characterized by sufficient virtuosity and musical expression, is splendid compared to other gayageum byeongchang of the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20세기 전반 한성기 가야금병창 기록
Ⅲ. 한성기 가야금병창 <어화청춘> 분석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은주(Shin Eunjoo),양주희(Yang Juhee). (2023).한성기 가야금병창 <어화청춘> 고찰. 국악원논문집, 47 (), 299-331

MLA

신은주(Shin Eunjoo),양주희(Yang Juhee). "한성기 가야금병창 <어화청춘> 고찰." 국악원논문집, (2023): 299-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