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민족예술단과 북한의 민족음악

이용수 40

영문명
The National Folk Art Center and the North Korean National Music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배인교(Bae Ihngyo)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7집, 275~2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북한 국립민족예술단의 75년간의 연혁과 활동양상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 봄으로써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않은 국립민족예술단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있으며, 더불어 북한 민족음악의 변화의 추이를 검토하는데 있다. 1947년부터 1965년까지는 조선악연구소, 조선고전악연구소, 문화선전성 직속 고전악단, 국립예술극장 내 협률단, 국립예술극장 직속 고전악단, 국립고전예술극장을 거쳐 국립민족예술극장으로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월북국악인들의 창극과 그들의 악기연주와 같은 전통음악 역량은 북한 음악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65년부터 1992년까지는 국립민족가극극장, 평양예술단, 모란봉예술단으로 명칭을 바꾸며 활동 내용도 변화가 있다가 다시평양예술단으로 재개명하였다. 이때 <피바다>식 민족가극이 확립되었고 민속무용과 민족무용작품을 창작하면서 음악무용종합공연을 활성화시켰다. 국립민족예술단으로 활동한 1992년부터는 민족가극의 창작과 민속무용조곡, 민족가무와 같은 형식의 작품을 창작 공연하였으며, 2000년대 들어서는 여러 음악단체와 협업하면서 단독공연보다는 대규모의 예술공연을 함께 만들어 나가는 것에 치중하였다. 그리고 김정은 시대 이후에는 다시 독자적인 단체로써의 활동을 추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조선고전악연구소부터 국립민족예술단까지의 활동을 통해 우리는 북한에서 민족음악의 현대적 변용이 구현되는 방식을 엿볼수 있으며, 그 기저에 있는 월북국악인의 활동과 역할은 현재 남북한의 전통음악문화와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접점으로 작용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Folk Art Center (hereafter, the Center) through dividing its 75-year history and activities into three periods, and to review the trend of changes in North Korean national music, From 1947 to 1965, the Center had been reorganized as the Joseon Classical Music Research Institute, the Classical Orchestra directly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and Propaganda, the Hyeopryuldan within the National Arts Theater, the Classical Orchestra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National Arts Theater, the National Classical Arts Theater, and then National Folk Arts Theater. During this period, traditional music capabilities such as changgeuk (Korean opera derived from pansori) and instrumental performa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ian who crossed the border to North Korea had a great impact on the North Korean music scene. From 1965 to 1992, the Center had been renamed as the National Folk Opera Theater, the Pyongyang Art Organization, the Moranbong Art Organization, and then the Pyongyang Art Organization; the content of activities had changed. At this time, the pibada ('Sea of Blood') style of national opera was established, and the comprehensive music and dance performances were vitalized while many folk dance and national dance works were created. Since 1992, when the Center worked as a National Folk Art Center, it has created and performed works such as national operas, folk dance suites, and national songs and dances. Since the 2000s, the Center focused on creating large-scale art performances together collaborating with various music organizations, rather than solo performances. After the Kim Jong Un era, the Center has been pursuing activities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Through the activities from the Joseon Classical Music Research Institute to the National Folk Art Center, we can get a glimpse of the way in which the modern transformations of national music were realized in North Korea, and confirm that the activities of those who crossed the border to North Korea were at the base. The activities and roles they played in North Korea serve as a point of contact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confirm their traditional musical culture and national identi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1947년 ~ 1965년 월북국악인과 창극 창작
Ⅲ. 1965년 ~ 1980년대 민족가극과 혁명가극
Ⅳ. 1990년대 이후 대규모 음악무용종합공연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인교(Bae Ihngyo). (2023).국립민족예술단과 북한의 민족음악. 국악원논문집, 47 (), 275-297

MLA

배인교(Bae Ihngyo). "국립민족예술단과 북한의 민족음악." 국악원논문집, (2023): 275-2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