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 농악과 사물놀이의 별달거리를 활용한 초등 타악 교육 방안

이용수 40

영문명
A Plan for Traditional Percussion Education Utilizing "Byeoldalgeori"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박희윤(Park Heeyu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7집, 251~27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별달거리는 영남 농악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악곡이다. 별달거리의 생성배경으로 직접 거론되는 진주삼천포농악의 ‘별굿놀이’ 뿐만 아니라 금릉빗내농악의 ‘판안다드래기(소리굿)’도 별달거리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악곡 사이의 음악적 구성 및 특징을 살펴보고 비교・분석하여 농악과 사물놀이에서 드러나는 타악 음악 어법을 검토한 후 초등국악 타악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물놀이와 농악의 음악적 구성과 특징을 살펴보기위해 악곡 전체를 기악적 요소와 성악적 요소로 나누어 음악적 특징과 효과를 탐색하였다. 또한 박자구조에 따라 소박과 박으로구분하여 장단의 구조를 파악하고 가락유형을 기준으로 악구와 전체 악곡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음악적 구성과 특징은다음과 같다. 농악과 사물놀이 모두 2소박 4박의 휘모리장단을 기반으로 성악적 요소와 기악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두 요소를 적절히 배치하였다. 성악적 요소에는 대사, 구호, 말장단이 있는데 각각 안내하는 신호 역할, 소망을 기원하는 역할, 일상적상황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악곡의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하였다. 휘모리의 장단꼴들은 변주 양상으로 볼 수 있으며단독 혹은 2개 이상이 결합하여 외장단형, 대비형, 가진형 등의 악구를 형성하였다. 전체 악곡 상 주고받는 형식과 한배에 따른형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 타악의 음악 어법을 활용한 교육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성악적 요소 측면에서학습자는 구호나 말장단에 여러 내용을 담아 휘모리장단에 어울리도록 표현할 수 있다. 둘째, 기악적 요소 측면에서 학습자는휘모리의 여러 장단꼴들을 익히고 이들을 새롭게 구성하여 다양한 악구를 만들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성악적 요소와 기악적요소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주고받는 형식까지 도입하여 전체 악곡을 짜임새 있게 만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관습적인휘모리 가락의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여 전체 악곡에서 한배에 따른 형식을 구현할 수 있다.

영문 초록

'Byeoldalgeori' is a rearranged piece based on Yeongnam nongak . Not only Jinju-Samcheonpo nongak 's 'Byeolgutnori', which is directly mentioned a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Byeoldalgeori', but also Geumneung Bitnae nongak's 'Panan dadeuraegi (sorigut )' are closely related to 'Byeoldalgeori'.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hree musical pieces and examines musical expressions of the percussions shown in nongak (also called pungmul ; percussion ensemble music) and samulnori (a modernized version of pungmul ). Thus, it aims to find educational plans that can be used for elementary students to learn traditional percussions. In order to examine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amulnori and nongak, this study divides the entire piece into instrumental and vocal elements to explor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In addition, it grasps the structure of the jangdan (rhythmic patterns) by identifying it with sobak (lit. small beat; subdivided beat) and bak (beat) according to the rhythmic structure, and analyzes phrases and whole pieces based on the rhythmic type. As a result, the music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of all, both nongak and samulnori include vocal and instrumental elements, which are arranged in a balanced way, based on hwimori jangdan (four beats with duple subdivisions). Vocal elements include lines, slogans, and rhymes, each of which plays a role of giving signals, praying for wishes, and conveying daily situations, respectively, enrich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The rhythm patterns of hwimori jangdan can be seen as variations, and they form a musical phrases such as a type of one jangdan (one jangdan periodically), a type of dual jangdans (two contrasting jangdans periodically), and a stereotyped type (the fixed number of jangdans with the fixed rhythmic patterns and order periodically). The style of call and response and the style according to hanbae (tempo) in an entire piece are found.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al plan using the musical expressions of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music. First, in terms of vocal elements, learners can express various contents in slogans, and rhymes to match hwimori jangdan . Second, in terms of instrumental elements, they can learn various rhythm patterns of hwimori jangdan and then make various musical phrases combining them in a new way. Third, they can properly arrange vocal and instrumental elements and introduce the style of call and response to make the entire piece well-structured. Lastly, they can properly utilize the function of conventional hwimori jangdan to realize the form according to hanbae in the entire piece.

목차

Ⅰ. 서론
Ⅱ. 별달거리 장단의 존재양상과 생성배경
Ⅲ. 사물놀이와 농악의 음악 어법과 교육적 활용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희윤(Park Heeyun). (2023).영남 농악과 사물놀이의 별달거리를 활용한 초등 타악 교육 방안. 국악원논문집, 47 (), 251-274

MLA

박희윤(Park Heeyun). "영남 농악과 사물놀이의 별달거리를 활용한 초등 타악 교육 방안." 국악원논문집, (2023): 251-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