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극과 판소리 화용도의 사설 비교 연구

이용수 7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Texts of Peking Opera Hwayongdo and Pansori Hwayongdo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동이린(Dong Yil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7집, 157~1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국 경극 화용도와 한국 판소리 <적벽가> 중 화용도 대목을 중심으로 사설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위하여 우선 경극 화용도와 관련된 문헌 기록들을 확인한 바에 따르면 경극 화용도는 청대(1636~1912) 중기에 발생한경극의 초기 작품이 수록된 대본집 『차왕부곡본(車王府曲本)』에 당조(擋曹) 라는 이름으로 처음 수록되어 있었다. 이후중국 문헌 『도함이래이원계연소록(道鹹以來梨園系年小錄)』 중 도광(道光) 4년(1824) 《경승평반희목(慶升平班戲目)》에 비로소 화용도(華容道)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경극전통극본회편(京劇傳統劇本匯編)』에 수록된 경극 화용도의 사설과 송순섭 창본 <적벽가> 중 화용도 사설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국의 화용도는 부분별 사설 구성에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경극의 경우 시작 부분에서장면이 추가되어 있었고 판소리의 경우 중간 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추가된 장면이 있었다. 둘째, 사설 내용의 전개 양상은 전반적으로 유사하였으나, 중점적으로 묘사하는 부분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판소리 화용도는 인물의 말투와 표정, 외모에 대한 묘사를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이와 다르게 중국 경극 화용도는 줄거리를 중심으로간결한 묘사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관객들의 경우 소설 『삼국지연의』 내용에 더 익숙할 뿐만 아니라, 경극 배우들 간의 대화와 연기, 분장 등을 통해 화용도를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기에 사설 내용에서 사실적인 묘사 등이 필요하지 않았던 것에 기인한다. 반면 한국 관객들은 화용도에 등장하는 이국적인 내용 중 인물에 대한 호기심이 더욱 강했을 것이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세밀한 묘사와 내용의 추가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양국의 화용도를 비교함으로서, 『삼국지연의』라는 동일한 소설에 기반을 둔 중국의 경극과 한국의 판소리라는 전통공연예술이 공연 환경 및 관객의 취향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양상의 서로 다른 콘텐츠로 파생되어 전해지고 있는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saseol (texts like lyrics and dialogues) of Chinese Peking opera Hwayongdo (華容道 The Huarong Path) and the passage of 'Hwayongdo' in Korean pansori (musical storytelling) Jeokbyeokga. To this end, reviewing the written materials related to the Peking opera Hwayongdo, it found that it was first included under the title Dangcao in Chewangfu quben, a collection of librettos of early Peking opera works from the mid-Qing Dynasty (1636-1912). The title Hwayongdo was first used in the 'Qingshengping ban ximu' (repertoire of plays by the Qingshengping troupe) of the Chinese literature Dao Xian yilai Liyuan xinian xiaolu (a small record of the theater from the Daoguang and Xianfeng) at the 4th year of the Daoguang Emperor (1824).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saseol of the Peking opera Hwayongdo included in Jingju chuantong juben huibian (a collection of traditional Peking opera scripts) with that of 'Hwayongdo' in Jeokbyeokga performed by Song Sun-seop are as follows. First, the Hwayongdo of the two countries were different in terms of saseol composition by each section. Scenes were added to the beginning section in Peking opera whereas they were added in the middle and final sections in pansori. Second, the development of saseol contents was generally simila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ocal point of the description. Pansori 'Hwayongdo' had a strong tendency to express the character's way of speaking, expression, and appearance vividly and realistically. However, the Peking opera Hwayongdo was concisely organized around the plot. This phenomenon is not only because Chinese audiences are more familiar with the contents of the novel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but also because the dialogue, acting, and makeup of Peking opera actors were able to vividly express Hwayongdo and thus a realistic description was unnecessary. On the other hand, Korean audiences would have been very curious about the exotic subject matter and characters appearing in 'Hwayongdo' and to satisfy this curiosity, a more detailed description and added content would have been needed.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onfirm how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 of China and Korea, both based on the same novel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 has developed as different types of contents in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performance environment and the taste of audiences.

목차

Ⅰ. 서론
Ⅱ. 경극 화용도의 역사적 전개
Ⅲ. 한·중 화용도의 사설 비교
1. 사설의 구성
2. 사설의 내용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동이린(Dong Yilin). (2023).경극과 판소리 화용도의 사설 비교 연구. 국악원논문집, 47 (), 157-178

MLA

동이린(Dong Yilin). "경극과 판소리 화용도의 사설 비교 연구." 국악원논문집, (2023): 15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